인생
위화 지음, 백원담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이렇게 슬프다니! 눈물 줄줄 흘리면서도 멈출 수 없는 위화의 <인생>

왜 제목이 <인생>인 거야, 제목마저 슬픔.

신명나는 서술

<인생>을 읽기 전에 위화의 소설은 처음이라 <허삼관 매혈기>와 <제7일>을 도서관에서 빌려왔다. 쉬워 보이는 <허삼관 매혈기>는 잠깐 펼쳤다가 빨려 들어가 술술 읽어서 거실에 서서 끝까지 읽었다. 마지막 문장까지 기가 차서 풉 하면서 끝나는 책이었다. 감동도 충격도, 재미도 슬픔도 뭐 하나 빠지지 않는 소설이었다. 작가 위화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쉬운 관문이지 않았을까?

<허삼관 매혈기>의 허삼관도 나이 든 노인인데, <인생>도 이 부분이 비슷하다. 다만, <인생>은 옴니버스 식으로, 민요를 수집하는 '나'가 한 마을에서 노인 푸구이의 이야기를 듣는 내용이다. 총 다섯 장으로 나누어져서 장의 앞과 뒤에 '나'가 잠깐씩 등장하고, 푸구이의 이야기가 주로 전개된다.

할아버지의 과거 회상은 구전 설화를 듣는 것 같은 신명나는 맛이 있고, 한편으로는 모든 상황에 초연한 느낌이 있었다. <인생>의 머리말에서 "작가는 독자에게 고상함을 보여줘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고상함이란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니라, 일체의 사물을 이해한 뒤에 오는 초연함, 선과 악을 차별하지 않는 마음, 그리고 동정의 눈으로 세상을 대하는 태도다."라고 했는데, 이와 같은 작가의 관점을 잘 드러내기에 적합한 인물이 할아버지이지 않나 싶다.



격변기의 삶

푸구이 노인의 인생은 기복이 무척 심하게 느껴졌다. 지주의 망나니 아들로 재산을 탕진하고, 전쟁을 겪고, 농민의 삶을 산다. 극단적이고 파란만장해 보이는 삶이지만, 중국 형명, 대약진, 문화대혁명과 같은 중국의 상황에서는 보편적인 삶이고, 우리나라의 현대사와도 멀지 않은 삶이다.

이러한 격변기의 삶을 대처하는 자세, 이러한 격변기의 삶을 이해하는 자세로 저자 위화가 제시하는 태도는 낙관적이라고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굵직하게 벌어지는 일들은 엄청나게 슬프지만, 그 와중에서도 "사람은 즐겁게 살 수만 있으면 가난도 두렵지 않다"라고 하는 걸 보면, 그 모든 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나날을 즐겁게 살 수 있는 게 인생인지도 모른다. 이 대사의 맥락은 '가난'이지만, 가난만이 두려운 게 아닌 것처럼, 여러 난관 속에서도 꿋꿋이 상황을 헤쳐나가는 푸구이의 회복력은 가히 경탄할만했다.

눈물 없이 읽을 수 없는 게 <인생>

<인생>은 왜 이렇게 슬프게 만들었는지, 작가는 <인생>의 등장인물들에게 미안하지도 않을까? 눈물 쏙 뺀다는 지인들의 제보에, 나는 눈물이 말라서, 소설 보고 울지 않지, 했건만... 그래도 난 참 적게 울었다. (자랑?)

<인생>에서 푸구이 영감의 이야기를 듣는 역할을 하는 '나'는 참 잘도 듣고 있다. 나라면, "아니, 뭐라고요? 그런 일이 있었다니..." 하면서 1장 중간에 가로막고, 한탄과 푸념이나 해댔을 텐데 말이다. 4장 끝에서 푸구이 영감이 불길하게 말하는 듯해서 5장에서 또 슬플 것 같아 정말이지 읽기가 싫기도 했다. 당연히, 5장도 정신없이 슬펐고, 나는 정말 탈진할 지경이었다.

1장 중간에서 어찌 그런 일이..라며 땅을 치며 한탄하고 있었으면 알 수 없었을 감정들이 5장 끝까지 읽고 넘실넘실 차올랐다. 감정의 폭은 깊어지고, (눈물샘은 고인 눈물이 흘러 원활해졌으며..), 신명 나게 이야기하는 푸구이 할아버지의 초연하고 낙관적인 모습에서 후회나 한탄이 아닌 고마움과 그리움의 감정이 감동으로 다가왔다.



함께읽기 덕분에 읽어 볼 수 있었던, <인생>

정말 슬펐지만, 그러기에 <인생>에 대해 깊이, 감동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