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식 만화 만들기 - 영화적 만화 창작을 위한 이론+실기 수업
오쓰카 에이지 지음, 선정우 옮김 / 북바이북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많은 만화가 영화화 되고 있고, 반대로 영화가 만화가 되기도 한다. 최근 <그 해 우리는>은 웹툰에서 드라마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드라마에서 웹툰으로 만들어졌다. 매체간의 교류는 더 빠른 속도로 자유자재로 이동하고 있고, 이미 문화 소비자는 양 쪽을 자유롭게 왕래하는 듯 하다. 하지만 드라마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라마만 보기도 하고, 웹툰을 좋아하는 사람은 웹툰이 더 재미있다고 말한다. 그저 취향의 문제일까?

취향의 문제로 치부하기 어려운 상대적으로 비선호하는 매체에 대한 아쉬움은 무엇 때문일까? 매체가 전환되면서 생기는 일종의 손실은 필연적이고 불가피하다고도 보인다. <영화식 만화 만들기>는 이러한 손실인 만화와 영화의 매체 전환에 따르는 ‘해리’와 ‘충돌’에 대해 아주 전문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 이 책을 읽어본다면, 묘한 아쉬움 대신에 전환의 묘미에 푹 빠져 양쪽 매체를 볼 때에 놀라움을 훨씬 더 많이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영화와 만화를 서로 대비할 때 차이점이 두드러진다. 여기서의 만화는 엄밀히는 웹툰이 아닌, 컷 크기가 다양하고, 양쪽 페이지롤 시선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만화책의 만화를 이야기한다. 웹툰은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가며 보는 것이 고정되어 있어서, 만화보다는 자유롭지 않다. 영화는 에니메이션이 아닌, 실제 촬영하는 영화를 말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앵글, 시간의 소요 등에서 훨씬 느린 호흡을 가진다.


영화 제작자나 만화가가 아니더라도, 이 책에서는 만드는 사람의 입장 뿐만 아니라, 독자 내지 시청자의 보는 방식의 차이도 자세히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이사이에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 있었다.

일단 영화로 만들어지면 만화에서 가능했던 독자의 주관적 편집은 불가능해진다. 만화 독자는 칸을 자신의 눈과 머리로 편집해서 읽는 데 익숙하다 보니 제삼자가 편집한 것을 보면 불쾌감을 느낀다.

278

나는 이 책을 만화와 영화 사이의 비판적인 논조가 궁금해서 선택했기 때문에 주관적으로 가감하여 읽기에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은 나보다는 실제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훨씬 유용할 듯 하다. 저자는 이러한 차이점을 '아 그렇구나'하고 받아들이지 말고, 실제 실습과 워크숍 과제를 해보면서 체득하기를 권하고 있기도 하다. 초반부에 제작 순서에 따라 만화가 영화를 차용해 나간 작품들과 영화로 만들어졌던 만화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기 때문에, 일본 작품을 많이 안다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많은 부분을 덜어내고 읽으면서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것은 저자의 열성적인 서술에 힘입은 바가 크다. 만화와 영화 사이에 <전환에 따르는 '해리'와 '충돌'> 외에도 다른 기법 또는 문제점에 대한 수많은 고찰이 있을 수 있으나, 저자는 이 주제에 집중해서도 끊임없이 구체적인 사례로 논평한다. 해박한 전문가이자, 열정적인 도전자의 자세에 집중할 수 밖에 없었다.

저자의 열정에 힘입어 <영화식 만화 만들기>를 읽어본다면, 영화와 만화간의 전환이 있을 경우, 막연한 비판 보다는 구체적인 감상을 할 수 있을 듯 하다.


꼭 읽고 싶은 책을 신청해서 지원 받았으며 진심을 담아 정성껏 서평을 작성했습니다.

더 좋은 서평을 쓸 수 있도록 열독하겠습니다. 서평이 힐링♡




일단 영화로 만들어지면 만화에서 가능했던 독자의 주관적 편집은 불가능해진다. 만화 독자는 칸을 자신의 눈과 머리로 편집해서 읽는 데 익숙하다 보니 제삼자가 편집한 것을 보면 불쾌감을 느낀다. - P2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