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식적으로 상식을 배우는 법 - 당당한 교양인으로 살기 위한
제바스티안 클루스만 지음, 이지윤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4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30/pimg_7771631143397905.png)
『상식적으로 상식을 배우는 법』
제바스티안 클루스만 (지음) | 이지윤 (옮김) | 한빛비즈 (펴냄)
유럽 퀴즈 챔피언이 말하는 상식은 그야말로 제대로된 상식이었다.
그의 방법은 상식적이면서 획기적이다.
챔피언이 될 수 있을 만큼의 상식을 자연스럽게 지식을 확장해서 쌓아 나갔다.
저자의 방법을 읽어 본다면, 그 동안 상식을 쌓을 수 있는 수많은 기회를 속절없이 놓쳐버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변에 대한 호기심과 알고자 하는 열정을 가지고 차곡차곡 쌓은 지식
그야말로 챔피언답다.
그렇게 지식이 많은 챔피언에 대한 수많은 오해들!
<상식적으로 상식을 배우는 법>은 저자 스스로 그 오해들을 풀어나가기 위해 만든 책 같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30/pimg_7771631143397906.png)
퀴즈 챔피언에 대한 오해는 나에게도 많이 있었다.
퀴즈는 상식이 아닐 것이라는 오해,
상식은 별 거 없는 분야일 것이라는 오해
방법은 외우고 암기하는 것 뿐이지 않나 하는 오해
많이 암기하려면 특별한 기억법이 필요할 것이라는 오해
그리고 그런 분야의 최강자는 상당히 편집증적일 것이라는 오해?~
(나만 하는 오해인가?)
우선 제일 미안한 오해로 그의 성격에 대한 오해를 풀자면,
그는 편협하지도 오만하지도 않다.
예전에는 아는 척하는 기질로 호감형은 아니었다고 인정할 만큼 넉넉하다.
아는 분야에 대해서 필사적으로 나서고, 지식을 과시하고, 우수한 걸 증명하는 건 하수였을 때일 뿐
하지만 챔피언은 그마져도 다듬었고,
지식을 과시하지 않고
남의 지식을 바로잡는데 혈안이 되지도 않는다.
그리고 이 책에서 수많은 노하우를 전격 공개하고 있지 않은가!
정말 후한 사람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30/pimg_7771631143397907.png)
2부 <공부하면 알게 된다> 에서는
지식을 재미있게 쌓는 방법으로
기억술사의 마술같은 방법이 아닌
연결하고, 표현하고, 다양화하는 방법 및 뇌건강과 기억 효율을 높이는 팁을 얻을 수 있으며,
3부 <일상의 잡학> 에서는
길 위에서 지식을 얻는 방법, 화폐, 쇼핑, 소셜 미디어에서 지식을 확장하는 방법들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을 갈고 닦은 상식 분야는 교양인으로 갖출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일반 지식이다.
문화, 사회, 과학, 예술, 인문학, 경제, 스포츠, 사회, 역사, 지리, 세계
(순서가 어떤식으로 정렬되어야 하는지 모르겠다.)
각 분야의 전문가만 알 필요가 있는 지식 바로 직전 까지의 지식
어쩌면 전문가의 견해와 달리 개방적이고 보편타당한 지식
이러한 모든 지식이 상식이다.
하지만 저자가 책 초반에 중요하게 강조한 대로
현시대의 상식은 그 기준이 더욱 모호해 지고 있다.
개인의 지식은 알고리즘씨가 안내한 길로 빠져 들어가고 있으며
각자 자신의 정보의 버블 속에서 나름의 지식을 구축할 뿐이다.
공통의 관심사와 합의가 현저하게 낮아지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30/pimg_7771631143397908.png)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주변 현실세계에 관심을 갖고
실질적인 호기심으로 지식을 확장해 나가는 상식적인 방법이 필요할 때이다.
그는 그의 상식적인 방법들을 총 동원한다고 해서 누구나 퀴즈 챔피언이 될 것이라고 하지 않는다.
다만, 그의 방법들을 동원한다면
세대간의 불이해를 넘어설 연결고리를 아는 사람,
누구와도 즐겁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
어디에서도 외딴 섬이 되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의 반의 반의 반 정도는 부지런해야 가능하겠지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30/pimg_7771631143397909.png)
꼭 읽고 싶은 책을 신청해서 지원 받았으며 진심을 담아 정성껏 서평을 작성했습니다.
더 좋은 서평을 쓸 수 있도록 열독하겠습니다. 서평이 힐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