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밥 - 세상에서 가장 귀한 꽃 ㅣ 그림책은 내 친구 56
정연숙 지음, 김동성 그림 / 논장 / 2020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84.jpg)
논장
세상에서 가장 귀한 꽃 꽃밥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85.jpg)
세상에서 가장 예쁜 꽃에 대한 아이의 질문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엄마는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벼꽃'이라 답하고 아이는 벼가 꽃이 핀다고요?라는 질문을 던진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86.jpg)
엄마는 아이에게 할머니의 이름이 적힌 낡은 공책을 보여준다.
할머니의 이름을 보자 아이는 우리강아지~하고 날 안아주시던
외할머니의 얼굴을 떠올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87.jpg)
아이와 엄마는 할머니의 일기장을 통해 벼꽃에 대한 추억여행을 시작한다.
1964년, 허수아비도 만들어 세우고, 메뚜기도 잡고하던 시절.
쌀밥이 귀하던 그 시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88.jpg)
외할머니는 아이를 낳았고, 처음 엄마가 되었다.
벼꽃처럼 귀한 사람이 되라고 아이의 이름을 '미화'라고 지었다.
이름에도 쌀의 의미가 들어갈 정도로 쌀이 참 귀했구나!라는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쌀이 귀했던 그 시절 이야기를 추가 설명을 통해 더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보릿고개, 혼분식 실천 운동, 무미일 등 지금의 우리는 전혀 들어본 적 없는 단어들이 등장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89.jpg)
쌀이 귀했지만 아이의 돌상에는
햅쌀로 손수 백설기를 만들어 올린 엄마의 정성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90.jpg)
1990년. 수입농산물이 들어와 농민들이 힘들어지고,
하나 둘 농촌을 떠나기 시작했나봅니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 농촌을 계속 어려움을 겪었나봅니다.
미화는 성인이 되었고 아이를 낳았습니다.
엄마는 할머니가 되었고, 딸에게 그러했듯 손녀의 첫 생일날에도
손수 백설기를 만들었습니다.
손녀가 10살이 되던해 할머니는 손녀와 내년에는 함께 벼꽃을 보기로 새끼손가락을 걸었는데..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떠나셨습니다.
논길을 따라 꽃상여가 나가는 모습에 마음이 먹먹해집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49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510.jpg)
일기장 속에 할머니가 알려주셨습니다.
세상서 가장 예쁜꽃은 하얀 벼꽃이라는 것을...
벼꽃이 영글어 쌀이 되고 쌀이 부풀어 밥이 된과다는 것을..
여든여덟번 농부의 손길과 정성이 필요한 쌀 한 톨
정말 귀하게 생각하고 감사히 먹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218/pimg_77685126624515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