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ㅣ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범나려 온다 범이 나려온다 송림 깊은 골로 한김생이 내려온다
누에머리를 흔들며 양귀 쭉 찢어지고 몸은 얼쑹덜쑹 꼬리는 잔뜩 한발이 넘고
동이 같은 앞다리 전동같은 뒷다리 새낫같은 발톱으로 엄동설한 백설격으로 잔디뿌리 왕모래 좌르르르르르 헛치고 주홍입 쩍 벌리고 자래 앞에거 우뚝서 홍행홍행 허는 소리 산천이 뒤덮고 땅이 툭 깨지난 듯
익숙한 가사죠? 판소리 <수궁가>에 나오는 장면입니다. 별주부가 토끼를 찾는 부분인데요. 저기 앉아 있는 토생원을 발견하고 부르는데, 먼 길을 헤엄쳐 오느라 목이 뻣뻣해진 탓에 살짝 잘못된 발음으로 부릅니다.
"저기 앉은 게, 그러니까 호생원이오?"
"누가 호생원을 불렀는가?" 첩첩산중의 호랑이가 별주부의 말을 듣고 내려오는 부분이죠.
<목차>
1. 조선의 오페라_판소리 다섯 마당
2. 잃어버린 조선의 아리아들_타령 네 마당
3. 삼국시대 뮤지컬_향가
4. 고전의 발라드_고전시가
5. 달빛 아래 붉은 실_고전소설
우리 한국의 음악, 판소리는 그들(서양 오페라와 뮤지컬) 못지않게 훌륭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곁에서 점점 희미해지고 있었습니다. 판소리는 단순히 소리를 넘어, 이야기와 감정을 함께 담아내는 살아 숨 쉬는 우리 고유의 예술입니다. 이는 조선의 오페라이자, 가장 한국적인 서사시입니다.
일반 백성들에게 널리 사랑받은 문화인 만큼, 판소리는 관객이 극 중간마다 '얼쑤!' '좋다!' '잘한다!' 등 자유롭게 호응하며 공연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어느 정도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를 추임새라고 부르며, 이는 소리꾼이 청중에게 이야기를 전달만 하는 일방적인 음악 예술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책에는 우리들에게 익숙한 이야기(춘향가, 수궁가-별주부전- 등)도 나오고 장끼타령, 숙영낭자타령 등 생소하고 색다른 이야기도 등장합니다.
이 도서는 판소리의 스토리와 가사를 설명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판소리 내용을 통해 현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과 지혜도 알려줘서 좋더라고요. 판소리는 우리 조상님들의 지혜가 담긴 전통 음악이자 고전 문학이고 연극이죠.
얼어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추운 겨울날, 장끼와 까투리는 먹이를 찾아 떠나고 있었습니다. 아홉 아들과 열둘의 딸이 있는 장끼와 까투리는 들판에 먹음직스럽게 놓여 있는 콩알 한 쪽을 발견하게 됩니다. 장끼는 그것을 단숨에 입에 넣으려 했습니다. 하지만 까투리는 불길한 예감이 들어 장끼를 뜯어말리죠.
하지만 장끼는 까투리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습니다. 자신이 간밤에 꾸었던 꿈이 아주 좋았다며 콩 한 알을 포기하지 않죠.
마침내 탐스러운 콩이 눈앞에 다가온 순간, 장끼가 콩을 부리로 콱 쪼는 것과 동시에 장끼는 덫에 콱 걸리게 됩니다. 장끼는 애통해하는 까투리에게 화를 냅니다. 까투리에게 너무 슬퍼하지 말라는 말과 함께, 자신이 죽고 난 뒤에는 수절하여 정렬부인이 되어 달라는 부탁까지 하죠.
장례를 치를 준비를 하는 장끼에게 조문을 온 갈까마귀, 오리, 호박새 등이 청혼을 하지만 까투리는 단박에 거절합니다.
하지만 또 다른 청혼이 있었는데, 바로 홀아비 장끼였습니다. "우리 둘이 작을 지어 아들딸 낳고 장가 시집보내 백년해로함이 어떠한가?"
까투리는 새 남편과 아홉 아들 열두 딸을 데리고 떠납니다. 이듬해 봄에 자식들 모두 혼인시키고 이 산 저 산을 노닐고 저 강 이 강을 오가며 즐겁게 살았다고 하네요.
<장끼전>은 여성의 주체적인 모습이 담긴 소설입니다. 지금에야 재혼이 자연스러운 일로 여겨지고 있지만 당시의 인식은 아주 달랐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끼전>과 같은 소설을 읽으며 우리는 현실을 경계해야 합니다. 우리의 관점에서 아주 당연하게 느껴지는 일들이 어쩌면 기울어진 현실을 비추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오래된 고정관념을 부술 때 우리는 새로운 세상을 만날 수 있게 되지요.
_ 134~135쪽
※ 서평단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저의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리텍콘텐츠
#방구석판소리
#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