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대한민국 재테크 트렌드
조선일보 경제부 엮음 / 원앤원북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차>

PART1. 2024년 거시 투자 전략

PART2. 2024년 부동산 투자

PART3. 2024년 금융 투자

PART4. 미리 시작하는 은퇴 준비


깊어지는 경기 침체 우려, 혼란스러운 투자 시장에서 내 자산을 지키고 불릴 투자 노하우를 알 수 있다면?

2023년은 경제적으로 힘든 해였는데, 2024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급여만으로 살 수 없는 시대가 된 요즘, 재테크로 자신의 재산을 지켜야 할 시대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목차는 거시 투자 전략, 부동산 투자, 금융 투자, 은퇴 준비로 나뉩니다. 2024년 재테크 트렌드를 읽어주는 13인의 연사로 구성되어 있죠.

13인의 목록은 내용 끝에 적어두겠습니다. 내용 중간에 적으면 읽으실 부분이 너무 길어질 수도 있겠다 싶어서요.


269~271쪽

우리가 자산을 관리할 때 어떻게 관리해야 되냐면 내가 가지고 있는 자산을 크게 두 덩어리로 나눠보셔야 합니다. 특히 은퇴 준비를 할 때는 곳간 형태의 자산과 우물 형태의 자산으로 나눕니다. 곳간 형태의 자산은 현금, 예금, 주식, 채권, 부동산과 같은 자산이에요. 가격표가 써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필요하면 언제든지 처분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중략) 우물 형태의 자산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주택연금, 보험회사에 가입하는 연금, 개인적으로 가입하는 연금과 같이 이번 달에 쓰면 다음 달에 또 나오는 형태의 자산이에요.

그렇다면 자산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를 때는 두 개를 섞으면 돼요. 기본적인 생활비 수준은 이번 달에 쓰면 다음 달에 또 나올 정도로 우물 형태로 만들어 놓으셔야 해요.

자산 관리 목적은 부자가 되는 데 있지만 걱정을 덜어버리는 데도 있습니다. 이제 중요한 거는 우물을 얼마만큼 깊게 팔 거냐입니다. 그러려면 내가 필요한 생활비 규모가 얼마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특히 거시 투자 전략이나 부동산 투자 부분은 제가 경제 쪽으로는 문외한이라 모르는 부분도 많긴 했습니다. 하지만 계속 모르는 상태로 있을 수는 없다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18,000명이 선택한 조선일보 재테크 박람회를 책으로 만나다!

2024년 경제 전망과 투자 전략, 글로벌 금융 이슈, 부동산에서 주목할 핵심 지역, 재개발과 재건축, 채권 투자, 은퇴 후 월급 500만 원 만들기, 절세 기술 등 알고 싶은 내용들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354쪽_아이들에게 "경제라고 하면 떠오르는 게 뭐야?"라고 물으면 뭐라고 답할까요? 돈과 주식을 가장 많이 답하더라고요. 그럼 이제 주식은 뭘까 물어보죠. 회사의 소유권을 사는 거라는 답이 나오면 좋겠지만 아이들은 "도박이에요" "한 방에 돈 버는 거요"하는 식으로 대답합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아이들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길러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당장의 일희일비가 아닌 옥석 가리기가 필요합니다. 2024년에 투자를 하고 안 하고를 떠나서 대비를 해놔야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습니다. 사업성을 체크하고 리스크를 고려해 현명하게 투자하는 방법을 공부할 때입니다

_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


#경제도서

#재테크

#대한민국재테크

#재테크트렌드

#원앤원북스

#서평단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

오건영 신한은행 WM본부 팀장

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

남석관 베스트인컴 회장

이효석 HS아카데미 대표

신년기 에이판다파트너스 상무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조재영 웰스에듀 부사장

오영표 신영증권 본부장(변호사)

안수남 세무법인 다솔 대표

김나영 양정중학교 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