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기본적으로 타자와 매우긴밀하게 관계를 맺는 행위이며, 그렇기 때문에 번역에는 번역가가 한 인간으로서 타자와관계를 맺는 일반적 방식이 반영된다.

"우리가 주체가 되어 서양을 직접 만나지 못한사실, 다시 말해서 일본을 통하여 서양을 간접적으로 만난 사실이 한국 근대사가 안고 있는비극이다."

즉 번역가는 외국어를 붙들고 나의 언어에서 나오는 존재이다.

외국어 원문의 목소리가 나의 목소리와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한국어라 해도 대개는 나의 언어가 아닌 다른 한국어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실존하는 한국어는 이 제3의 언어를 흡수하면서 그 외연을 확대해나갈 수도 있다. 따라서이 외연 바로 너머에 한국어의 가능성으로서존재하는 제3의 언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거창하게 말하자면 한국어에 대한 번역가의 임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언어적 선택이 번역가에게는 가장 근본적인 문화적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언어의 밖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 번역가, 외국어와 이질적인 인식 방식을 매개로 나의 언어를 밖에서 바라보는 특권을 누리는 번역가가 다시 그런 유아적 단계로 퇴행할 필요가 있을까? 번역가는 다른 사람의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기본적인 능력을 갖추는 동시에, 번역가의 근본적 지위에 걸맞은 언어적 선택, 문화적 선택을 해야 한다. 스스로 좋은 번역을 결정해나가야 한다. 이런 결정의 전제가 되는 공간, 실존하는 언어에 직접 의지할 수 없는제3의 언어의 공간은 대단히 불안한 곳이다. 그러나 동시에 번역가가 가장 창조적으로 문화에기여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걸음 더 나아가, 기계번역이 번창하게 되면, 번역될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경우에는 처음부터기계번역이 용이하도록 글을 쓰게 되는, 누가생각해도 끔찍한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럼에도, 이런 충돌의 위험을 무릅쓰면서 번역으로 자국어의 영역을 확대하는 작업, 다른 언어와 우리 언어의 혼종에 의해 제3의 언어, 순수하고 절대적인 언어를 지향하는 작업은 언어의 유토피아를 향해 나아가는인간의 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대로 텍스트가 열려 있을 뿐아니라 그 기초에는 언어의 불완전성이 자리잡고 있으며, 번역 언어가 그 불완전성을 그 나름으로 보완하면서 원래의 언어와 더불어 새로운언어로 나아간다는 벤야민 같은 발상이 있고, 그런 발상에서 새로운 시야를 얻을 수 있다는이야기를 나는 다른 자리에서도 한 적이 있다.
그런 때에만 원문과 번역문, 원어와 번역어라는이항적 사고에서 벗어나 제3항을 상상하는 열린 사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읽기에 가까운 쓰기인 번역의 결과물은 창조적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에서의 핵심은 언어의 해상도가 인식의해상도보다 훨씬 더 낮음에 있습니다. 인식의해상도는 우주의 해상도보다 훨씬 낮겠지요.(김재힉, [인간, 기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