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우스드라이버 크로니클 - 기업가의 삶에 첫 도전하는 워튼스쿨 두 청년의 파란만장한 어드벤처 스토리
존 러스크 & 카일 해리슨 지음, 이지원 외 옮김 / 럭스미디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승려와 수수께끼에 이은 럭스 미디어의 책...
USA today가 극찬한 아마존 장기 베스트셀러고,
안철수 교수님이 자신의 꿈을 꾸는 청년에게 권하는 책이라고 한다.
기대감을 갖고 책을 폈는데
아무리 10년전이라고는 해도 기업가의 삶에 도전한다는데
너무 안이한 마음가짐으로 시작한건 아닐까 하면서 읽어내려갔다.
예상한 일 외에도 다양한 일들이 발생하게 되고
그것들을 해결해 나가는 모든 과정에 대해서 서술되어 있다.
솔직히 책을 읽기에는 저자가 내용을 잘 구분해주고, 챕터마다 내가 말하고 싶은건 어떤 내용입니다라고 서술해준 것들이 편하긴 하지만 다양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이 책은 본인이 겪었던 일들을 서술하고 있다,
열정과 간단한 아이디어를 갖고 창업을 한 워튼스쿨 출신 학생두명이 본인들의 아이디어를 제품화 하고 판매하는데 까지 일어난 일들을 언급하고 있다.
동업을 통한 창업이다보니 투자를 받고 업무 책임을 지는데 있어 직함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게 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분업화), 4의 법칙 등 다양한 시도와 그 시도를 통한 청년들의 성장을 볼 수 있다.
<약간의 책 맛보기>
* 항상 같은 패턴으로 일이 일어났다. 어떤 결정을 내리면 그것이 해결책으로 작용하기도 전에 또 문제가 터졌다. (p67)
*(제품판매전략도 정해지고, 제조에 대해서도 일부 정해진 상황에서...) ~모든 일은 너무나도 빨리 일어났다. ~ 태풍 요크가 홍콩을 휩쓸었다.(p133 천재지변에 의한 위기)
*(골프선수 등의 다양한 투자자들을 만나며 광고방향이 생산자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던 중) 우리는 기업가로서의 완전한 경험으르 원하지, 지름길을 원하는 것이 아니었다. 우리는 비틀거리더라도 스스로 성공하고 싶었고, 플래티넘 콘섭트를 우리가 생각하는 방향으로 끌고 나가고 싶었다. 그것이 설령 엄청나게 많은 돈을 포기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p176)
*마우스드라이버와 관련된 모든 경험 하나하나가 곧 제픔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것을 기억해야했다. 그것은 우리의 잘못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잘못까지 고쳐야 한다는 뜻이었다.(p190)
* 우리는 창업자이자 금융업자였으며,이삿짐센터 직원이엇고, 홍보요원이었으며,언론인이었고,재고 관리자였으며, 배달원이자 전화교환원이기도했다. 이 모든것은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일부는 심지어 재미있기까지 했다. ~ 최근에 아주 어렵게 배운 교훈을 적용해야 했다. 현금은 최대한 유지하고 계획에 충실해야한다는 것이다(p191)
* 우리가 번 것보다 약 3만 달러 가량을 더 많이 썼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p196)
돌이켜보면 우리가 얼마나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는지 알수있다.(p198)
* 우리의 가장 큰 자산은 우리의 재고자산이 아니라 제품의 수명주기의모든 단계에서 발전시킨 우리의 사업지식과 기술, 그리고 인맥이다.(p365)
www.wece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