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의 미래 - 10년 후, 나는 어디서 누구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린다 그래튼 지음, 조성숙 옮김 / 생각연구소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직업상 대학생들과의 교류가 많은 편인데 전공을 택함에 있어서 본인이 입학한 지금 이시점에서 가장 취업률이 좋은 과로 지원하겠다는 친구들을 보면 참 가슴이 아프다. 그리고 대학원을 진학하겠다는 친구들에게도 네가 졸업할 시점에 너를 필요로 하는 분야를 전공으로 택하는 게 어떨까? 그게 나의 답이였는데.
이 책의 결론도 비슷하다. 미래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 예측을 하고 그에 따른 조직 구조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되니까 변화에 적응해서 잘 살고 있는 예시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산업혁명시대부터 현재까지의 급속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변화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2025년을 뒤바꿀 다섯 가지 힘에 대해 소개했다. 기술발전이 만든 스마트한 세상, 세계화의 명암, 인구통계와 수명 증가, 요동치는 사회, 화석연료의 종말로 표현할 수 있다.
저자는 조직관리에 대해 전문가여서 인지 변화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점외에 조직이 어떻게 변해갈 것인지에 대한 서술이 있어 개인이 그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유연한 전문가가 되라는 말과 현명한 해결사가 되라는 말이 가슴에 와 닿았다.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고 신세계를 발견한 것 같아서 행복했으나 주말에도 일을 하게 되는 불편한 진실속에서 모든 일들이 3분이 한계가 되어 돌아가는 파편화된 세상을 보고 암울해졌다. 나의 아바타가 내 일을 나누어서 진행하고 있는 상황, 빈곤과 불평등에 무감각해진 사람들 생각만으로도 숨이 막힌다.
그러나 유연한 전문가가 되어 비전문적인 분야는 전문가에게 조언을 받고 내가 또 도울 수 도 있는 협력구조를 가지면 되는 것이고 협력구조에서 생겨날 수 있는 다양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현명한 해결사가 된다면 다양한 커리어를 얻을수 있고 내가 많이 성장할 수 있을 것 같다.
미래에 대해 암담한 이야기가 많이 있긴 하다. 그러나 피할수 없다면 즐기라는 말이 있다. 이 상황을 즐기기 위해서 갖추면 좋을 조건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결국 일자리는 더 적어질 것이고 그러나 미래를 준비하여 능력을 갖춘 사람은 70세가 넘어서도 일을 할 수 있는 그런 세상이 오게 되는 것이다.
정년후에는 가치있는 능력을 가지고 능력을 남들에게 베풀면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과연 그 능력은 무엇이며 내가 갖춰야할 능력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노력한다면 미래가 그리 암담하지만은 않을 것 같다. 이건 간단히 경력관리라 해두자.
2015 미래지도처럼 미래 모습을 정리해서 이미지화 해 놓은 책은 아니지만 여운이 남고 앞으로 나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할 지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게 하는 책이였다.
www.wece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