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로 부의 리셋 버튼을 눌러라
김형렬 지음 / 메이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테크를 하지 않으면 점점 뒤로 밀려난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흘러 넘치는 유동성에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걸 체감하고 있구요,

세금과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으니,

어떻게든 돈을 굴리지 않으면 빈민층으로 전락할것만 같은 위기감마저 듭니다.

현금보유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과

실물자산으로 교환해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는데

이 혼란스러운 장에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한 시점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주식 투자로 부의 리셋버튼을 눌러라]

입니다.


저자가 중권사 리서치센터장으로 있으면서 알게 된 것 3가지가

1. 사람 사는 일은 어디서든 크게 다르지 않고, 생각도 비슷하다.

2.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3. 나의 생각을 실천할 수 있어야하며 미루지 말아야 한다.

입니다.


주식 종목을 선정하고 투자를 선택하고 하는 것이 다 심리인지라 이말이 저는 와닿더라구요.

결국 돌아보니 그 당시에 내가 해야할 결정들, 내가 흔들렸던 순간 등등이 다 군중심리가 아니었나 싶기도 했어요.

코로나 19로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변화된 삶을 살고 있구요.


코로나19가 누를 리셋 버튼 중 '밸류체인의 이동'은 '초기화 버튼'이라기 보다 패러다임 시프트 속도를 더욱 높인 강화 버튼의 의미가 더 크다고 합니다. 경제상황이 안정단계에 도달했지만 저금리 환경이 바뀌지 않자 미국 대표 성장 산업이 실물 경제에 정착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졌죠. 규모의 경제에서 범위의 경제로 시스템이 전환되었습니다. 범위의 경제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상자 안에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재화를 빈틈없이 채워서 상자의 단위당 제작비용을 최소화해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한국 주식에서 패배를 맞보는 동안 미국 주식에서 의외의 선전을 맞보았던 탓에 주식 비중을 달리 가져가야하나 고민하고 있었는데, 책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한국이 저평가되어 있다면 우리부터 사야한다는 거죠. 저평가되어 있는 종목을 고르는 것이 노하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주린이를 위한 투자전략으로 남들이 사려고 망설이는 대상이 시간을 지나도 희소성을 잃지 않을 대상인지 평가해보라고 합니다.


그리고 경계의 끈을 놓지 말라는 경고도 잊지 않습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해야 할 것 같아요.

위기든 기회든 준비된 사람이 잡을 수 있으니까요~






*리뷰어스클럽 서평단으로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