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뇌과학 - 이중언어자의 뇌로 보는 언어의 비밀 쓸모있는 뇌과학
알베르트 코스타 지음, 김유경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에 대한 욕심, 갈증은 나에게도 있어서 우리 부부는 아이들이 '영어'만은 잘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어릴때 언어를 배우면 좀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감이 있었고, 그 기대감은 비단 우리 부부에게만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라 영어 조기교육에 대한 갈망이 부모들에게 강하게 나타난다. 오죽하면 유치원도 영어 유치원이 있겠는가...


우리나라는 단일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인지라 이중언어에 대한 기회가 일반적으로는 많지 않다.(다문화가정 제외) 그런데 외국에 나가보면 문화가 많이 섞여 있어서 부모의 언어가 다른 경우도 빈번하고, 나라 자체에서 제2외국어를 지정해둔 경우도 있어서 아이들이 어릴때부터 2개 국어를 익히는 상황을 많이 봤다. 그리고 그들은 제3의 언어를 익힐때도 뛰어난 학습능력을 발휘했다. 어릴때 2개 국어를 익히는 상황이 뇌를 변화시켜서 언어의 습득을 높이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도 있었다.


언어의 뇌과학은 이중언어자의 뇌를 통해 언어의 다양한 요소들을 학문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다양한 실험이 소개되고 있고, 실험 결과에 의거해 서술해나가고 있다. 물론 이런 실험들이 100%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최대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어떤 조건들을 어떻게 제거하고, 통제했는지도 서술되어 있어서 꽤나 신빙성 있는 실험결과들이라고 생각된다.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된다.

1장. 두 언어 환경에서 살아가는 아이들

2장. 이중언어자의 뇌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3장 이중언어를 하면 뇌가 어떻게 변할까

4장 이중언어 사용은 노화를 늦추는가

5장 이중언어자의 의사결정


1장에서는 두 언어에 노출된 아기가 겪는 어려움을 설명한다. 그러나 예측가능하게도 아이들은 시간이 걸릴 뿐 다 극복해낸다. 그리고 언어학습에 있어서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다. 아이에게 언어를 노출시켜주는 것으로도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부모들이 있다. 그러나 언어를 수동적으로 노출만 시켜서는 별 효과가 없다. 자녀가 외국어를 배우길 바란다면, 동영상이 그 일을 해줄 것을 기대말고, 그 언어를 사용해서 아이와 놀아줘야 한다.


2장에서 이중언어자의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이중언어자의 두 언어 처리 과정과 표상에 관여하는 뇌 영역은 같다. 그렇다고 피질 표상에 차이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 제2언어 습득 나이, 지식수준, 두 언어사이의 유사성 등의 변수에 따라 다르다.


3장은 이중언어를 하면 뇌가 어떻게 변할까 하는 내용이다. 이중언어 사용이 가져올 수 있는 악영향이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있고, 그렇다면 조기교육을 시켜야하느냐 하는 개인적인 궁금증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어휘 접근성 측면에서 이중언어자가 단일언어자보다 떨어진다. 말이 혀끝에서 맴도는 사례도 더 자주 발생한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는 이중언어 사용이 특정 인지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고도 한다. 그래서 나의 혼란은 책을 읽을 수록 점점 더 커졌다. 어째야하는거지????



만델라는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말한다면 그 대화는 상대방의 머리로 간다. 상대방의 언어로 말한다면 그 대화는 상대방의 가슴으로 간다"고 했고, 샤를마뉴는 "다른 언어를 배우는 건 두 번째 영혼을 얻는 일과 같다"라고도 했다.


언어를 습득하는데 왕도는 없고, 정답도 없다.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길 원하는 나의 욕심이 아이에게 득이 될지 실이될지도 명확하지 않다. 양날의 검처럼 이런 내용도 있고, 저런 내용도 있었다. 책을 읽고도 좀 혼란스럽긴 했다. 어릴때 외국어 공부를 시켜야합니다. 시키면 안됩니다 하고 결론을 내어 주는 책이 아니라서다. 그러나 적어도 언어를 학습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일들이 벌어지는지 궁금하다면 한번쯤 읽어보시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