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 art 003 ㅣ 다빈치 art 18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신성림 옮김 / 다빈치 / 200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우연히 사놓고 보니, 프리다 칼로가 유명한 인물인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대단한 관심과 기대를 갖고 책에 몰입했다. 단순히 유명해서라기보다는, 무엇이 이렇게 대단한 평을 받게 하는가...를 알고자 하여...
그녀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단순한 미를 추구해서가 아니었다. 그녀의 그림은 지독하게 사실적인 것 같으면서도, 추상적인 그림이다. 4차원이면서도, 형태나 색채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 그대로-심지어 솜털까지도-묘사했다. 한마디로 그림 안에 많은 내용과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림으로 정확하고 또렷하게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다. 솔직히 어떤 때에는 약간 추하게 느껴질 정도로 사실적이며, 또한 그 고통의 깊이가 절절히 느껴지기까지 하다.
그것은 아마도 계속되는 수술과 통증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으로 인해 그림으로 형상화된 것이리라... 하지만, 개인적으로 볼때 그녀는 자기가 바라는 디에고의 사랑과 추종을 받은 행복한 여자였다. 남편의 무절제한 성생활로 인해 자신이 모욕당하고, 버림받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오히려 디에고에 대한 자신의 사랑, 그리고 자신에 대한 디에고의 사랑을 확인하고는 했다.
그러나 어찌보면 이런 결론은 남성작가가 쓴 글이라서 나온 것인지도 모르겠다. 한 여자로서 프리다에게 이런 가정 상황이 어떠한 심적 고통과 상처를 주었는지는 아마 그녀 자신만 알겠지...- 두번째 결혼 당시에 맺었던 계약내용에서 내가 느꼈던 바로는... 그렇다
처음 펼쳤을 때는 눈살을 조금 찌푸렸지만, 중간에 약간 놀라면서 동정과 연민을 느꼈다가... 다시 담담하게 미소를 짓게 되는 복합적인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