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X로 배우는 배경 일러스트 ㅣ 쉽게 배우는 만화 시리즈 65
사케하라스 지음, 김재훈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5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06.jpg)
요즘 웹소설이 인기라 웹소설 표지 일러스트를 그리시는 일러스트 작가분들도 많고, 그려보고자 하는 지망생분들도 많으신거 같습니다. 유명 웹소설 표지 일러스트 작가는 페이도 많이 받으신다고 하니 그림 실력이 있다면 도전해볼만한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웹소설 표지 일러스트를 그리는데 도움이 되는 서적이 많지 않았는데 한스미디어에서 관련 서적이 나왔네요. 웹소설 표지 일러스트를 그려보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많이 될거 같습니다.
목차를 살펴보니 8Chapter로 되어 있네요.
Chapte 1 테마의 OX
일러스트의 특성, 역할, 일러스트로 주제를 잘 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의 커버 일러스트의 목적, 내용, 수단, 수요, 발표장소, 공개시기등의 포인트도 정리가 되어 있네요. 단순히 일러스트를 잘 그리기보다 프로 일러스트레이터가 갖춰야할 목적지향적인(상업적인 사안) 부분을 알려줘서 좋은거 같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07.jpg)
Chapte 2 자료집의 OX
요즘은 저작권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일러스트를 그릴때 아무 사진을 쓰다가 저작권 침해로 큰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직접 찍은 사진을 쓸 때 취재와 촬영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09.jpg)
Chapte 3 구도 선택의 OX
1점 투시(대칭이나 깊이를 표현), 2점 투시(입체감을 만들 수 있는 구도), 3점 투시,로우 앵글(박력있는 그림에 사용),3점 투시,하이 앵글(길거리의 장대함을 연출), 하이 앵글(지면 수면의 면적을 넓게 담을 수 있으며 피사체의 귀여움 강조)등 표현에 적합한 구도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진가공 배경 일러스트를 그릴때 상황에 맞게 불필요한 부분 잘라내기,부족시 정보나 요소를 더하기,과할시에는 빼기,인물을 강조할 때 효과적인 구도(원형구도,삼각구도,프레임구도,S자구도,대각선구도)등도 나와 있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14.jpg)
그림을 전문적으로 하지 않는 일반분들도 그림에서 뭔가 미술이론에 맞지 않는 그림을 봤을 경우 이상함을 금세 알아채곤 합니다. 그래서 이런 미술적 기본지식은 꼭 숙지해야 합니다.
Chapte 4 원근법의 OX
여기서는 소실원근법, 공기원근법, 색채원급법등 배경 일러스트에서 원근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Chapte 3에서는 투시도법이 나와 있었죠!)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16.jpg)
Chapte 5 캐릭터 넣는 법의 OX
배경 일러스트에 캐릭터를 넣을 때는 무작정 넣기보다는 캐릭터가 왜 이곳에 있는지, 무엇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설정을 잡아보면 일러스트의 이야기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3분할법,레일맨,리딩라인(시선을 유도하는 선) 을 고려해서 캐릭터를 배치하면 좋다고 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18.jpg)
저는 이 챕터에서 캐릭터와 배경의 조화를 잡는 방법에 눈길이 갔습니다. 캐릭터와 배경이 너무 동떨어지게 느껴지지 않도록 색감을 다듬어 빛 연출을 하는 법을 가르쳐 주네요.
클립스튜디오의 레이어 합성모드의 곱하기, 스크린,더하기, 오버레이를 이용하는데 스크린과 더하기는 제가 몰라서 활용하지 않던 거라 다음에 그림을 그릴때 잘 사용해봐야겠습니다.
Chapte 6 연출의 OX
일러스트에서 명암 대비,밀도 대비,색 대비, 테마 대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일러스트 전체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모티브의 질감묘사, 효과적인 빛 표현, 흩날리는 나뭇잎· 꽃잎· 눈등의 모티브와 여백의 사용법 등의 마무리는 그림의 완성도를 크게 좌우합니다.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든다는 말처럼 이런 마무리를 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중요하다고 봅니다. 저도 잘 배워봐야겠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20.jpg)
Chapte 7 실전테크닉(커버 일러스트 메이킹)
이 책의 표지 그리는 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늘 그리는 법, 사진을 이용해 중경,원경 배경 완성하기(사진이지만 그림처럼 표현),디테일하게 근경 그리기, 캐릭터 그리기,조명과 장식으로 효과주기 등 세세하게 사진과 글로 설명하고 있네요.
제가 놀랐던 건 이 책의 표지 일러스트의 배경을 보고 그림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진을 포토샵이나 클립스튜디오등의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효과를 준 거네요. 굉장히 유용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표지 일러스트,상용 일러스트가 어떤 과정(출판사나 클라이언트와의 협의)을 통해 완성되는지도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21.jpg)
Chapte 8 첨삭 편
일본의 일러스트 전문학교 학생들의 습작과 첨삭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정전과 수정후의 그림을 살펴보니 느끼는 바가 크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31/pimg_7761941892967522.jpg)
저는 어릴때 만화가가 꿈이어서 만화 일러스트를 그리는데는 크게 관심이 없는 편이었습니다. 사실 같은 만화(그림)를 그려서 비슷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일러스트와 만화는 크게 다른 분야라고 할 수 있다고 봅니다. 현재 직장을 다니는터라 웹툰에 도전하기는 시간상 어렵다고 보는데 만화 일러스트(웹소설 표지 일러스트)는 적은 시간으로도 도전해볼 수 있는, 투잡으로 가능한 분야라 관심이 가네요. 저와 같은 분들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본인이 누군가에게 긴 스토리를 전하는데 관심이 많은 편이 아니고 그림 그 자체를 그리는데 관심있는 분이라면 웹툰보다는 만화 일러스트를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게 더 좋다고 봅니다.
한스 미디어의 책 O,X로 배우는 배경 일러스트가 제가 몰랐던 다양한 지식(미술이론, 클립스튜디오 포토샵 활용법)을 알려줘서 도움이 많이 되네요.
특히 그림 예시를 주고 O,X로 확실하게 좋고 나쁨을 얘기해주니 답답함이 없고 이해가 잘 됩니다.
다음번에 만화일러스트를 그릴땐 책을 참조해서 좀 더 발전된 그림을 그릴 수 있을듯 싶네요.
책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