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과 그 너머를 질문하다 작은길 교양만화 메콤새콤 시리즈 3
박영대.정철현 지음, 최재정.황기홍 그림 / 작은길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살펴 볼 책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는 작은길 출판사에서 내놓고 있는 매콤새콤 시리즈의 하나입니다.

지금껏 대부분의 과학책은 과학적 사실만을 수학과 물리공식, 화학공식의 일상적이지 않은 언어로 표현해 

놓았거나, 일화만 담긴 과학사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렇게 따로따로 만나야만 했던 과학과 과학사를 만화라는 형식을 빌어 19~20세기 현대과학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업적을 낸 과학자 10인의 삶,연구과정,결과의 영향력을 살피려는 기획의도로 탄생한 것이 바로 

이 시리즈입니다.


우선 목차를 살펴보면,


토머스 쿤의 생애와 그가 평생 고민한 과학에 대한 철학적 탐색, 그리고 그 철학적 업적의 대표작이 된 과학혁명의 구조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는 '쿤'이라는 과학자에 대해서도 또 그가 '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과학철학자라는 사실도 알지 못했습니다. 또 과학철학이라는 용어 자체도 생소했습니다.



과학철학이란 '과학이란 무엇인가'를 새롭게 제기하며 미래의 과학을 사유하는 것입니다.

물리학도였던 그가 세계 2차대전을 직접 겪고 나서, 전쟁의 도구로 전락한 과학에 대한 회의에 스스로 

답하고자 철학적 사고를 시작하게 되었고, 과학사학자로 변화하게 됩니다. 

이전 과학철학이 '분석적 과학철학'이었다면, 과학이 갖는 역사성에 주목한 쿤에 의해서 '역사주의적 과학철학'이 시작되었습니다. 



그의 과학철학의 주요 철학개념은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과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입니다.


우선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이란 과거의 이론이 폐기되었다고 해서 그 이론들이 비합리적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는, 즉 다른 이론들을 하나의 같은 기준에서 비교할 수 없다는 개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역학과 뉴턴의 고전역학 사이에는 어떤 것이 옳다고 심판할 절대적 심판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대과학의 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이나 뉴턴의 개념을 이해하고 틀리다고 판단하는 것은 현대인의 오만이고, 바로 승리자의 견해대로 역사를 마구 왜곡하는 잘못된 역사관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승리자의 견해대로 왜곡하는 잘못된 역사관', 정말 절묘한 표현이 아닌가 싶습니다. 역사도 과학도 그리고 기타 모든 것들이 지금의 나의 잣대로 보고 있기에 항상 문제점만 보이고 이해가 되지 않는것이 아닐까요?


두번째 개념은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입니다. 패러다임이란 한시대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신념,가치,기술 등을 총 망라한 총체적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공통된 합의가 감각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쿤에 의하면 이러한 패러다임은 누적적 연속적 발전이 아니라 불연속적 단속적 전환을 통해 전환 된다고 

얘기합니다. 그 예로 든것이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입니다. 지동설은 중세의 지배적 세계관이자 천문관인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조금의 공통지반도 갖지 않는 그야말로 단절적, 혁명적 전환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절을 과학혁명이라 하고 단절과 단절사이를 '정상과학'이라고 부릅니다. 정상과학의 시기동안 공통전제를 가지고 퍼즐을 풀어가다 도저히 해결되지 않게 되면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오게 됩니다. 뉴턴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의 전환이 그 예입니다.


그의 철학적 개념들은 과학계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지만, 과학철학의 흐름을 '쿤 이전'과 '쿤 이후'로 나누는 것만을 보더라도 그의 영향력은 정말 강력했습니다.


맨 마지막엔 그의 연보를 통해 다시한번 그의 일생을 정리해 봅니다.



생소했던 과학자를 통해 익숙하게 알았던 용어의 대단함을 배운 시간이었습니다.

집중력을 요하기는 하지만, 만화형식을 빌려 그의 과학철학을 접할 수 있었기에 조금은 쉽게 전혀 지루하지 않게 한번에 책을 읽어 내려가고 과학의 재미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다른 시리즈에 대한 기대감이 생겼다면 분명 기획의도에 걸맞는 책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