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녀전설로 인하여 한 군도에서는 극북의 지방으로 가는 사람은 금기로 다스렸다.
그것은 단 한번, 아비의 약을 구하기 위해서 극북으로 넘어갔던 아이가 돌아오지 않고 약만 돌아왔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그 아이가 설녀에게 잡아먹혔다고 생각했다.
그 아비가 그 딸을 찾아 경계선을 넘어간 이후로 더욱 그렇게 생각했다…
그래서 전설이 남았다. 설녀가 된 딸이 아비를 잡아먹고 그 땅에서 계속 살아간다고…

“한빙.”

남해수도는 찔 것처럼 더웠다. 여인은  머리에 괴고 있던 목침을 내려놓고 오라비를 바라보았다.
오라비는 신이 났는지 시장에서 파는 여러가지 과일들을 잔뜩 들고 왔다.
극북 지방에서 살던 그녀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었다.

“오라버니. 또 사조께 하시는 말씀을 안 듣고 나갔군요.”

“…그야, 한 군데에만 앉아 있으면 이처럼 더운 곳에서는 엉덩이에 종기 난다고. 빙이 너도 밖에 나가면…”

“오라버니는…”

그녀는 뭐라고 말하려 했으나 입을 다물었다.
궁에서 알면 궁주가 절대 가만히 있진 않으리라.

“하여간 넓은 세상에 나오면 돌아다니는 게 옳은 것이지. 아, 누이 한 개 먹어봐.”

“궁에서 먹는 것이 더 맛있어요.”

한빙은 그렇게 말하고는 자리에서 일어나 부채를 부쳤다.

하얀 피부, 탈색이 되어 노란 끼가 도는 머리카락과 눈썹.
눈동자조차 탈색이 된 듯 연한 갈색의 눈동자.
손끝조차 하얀 빛을 내뿜는 듯한 그녀는 그렇다. 설녀였다.
그가 권하고, 그녀가 원하더라도 나갈 수는 없었다. 
설녀는 300년도 전에 극북에 갇혀 있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다만, 군도의 황제가 바뀔 때마다 인사를 드리러 나올 수 있는 것 뿐이었다.

“왜 그렇게 규칙에 집착하는 거야?”

오라비의 말에 그녀는 고개를 돌렸다.

“오라버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공인을 받고 그저 돌아가기만 하면 될 뿐인 일이에요. 괜히 바깥에 나갔다가 일을 키울 필요는 없잖아요?”

“누이는 쓸데 없는데 마음을 쓰는군.”

설한은 그렇게 말하고 나머지 과일을 다 먹어버렸다. 남해의 진기한 과일들을 그냥 두고보기에는 그의 식욕이 만만찮았다.

“아, 두고 먹을 걸 그랬다.”

다 먹어치우고나서야 설한은 머리를 감싸쥐었다.

“너한테 부탁해서 장을 쏘았더라면 신선한 상태로 계속 먹을 수 있었을텐데…”

“…오라버니, 난 얼음보관소가 아니에요…”

설녀는 그렇게 말하곤 뚫린 창문으로 파란 하늘을 바라보았다.

저 하늘 아래 어딘가에 찾아야 할 무엇인가가 있다.
궁주는 그녀를 만날 때마다 그렇게 말을 하곤 했다.

[한빙, 이제 세상으로 나가면 네가 찾아야 할 것이 꼭 있느니라…나는 알 수 없지만 너는 곧 알게 될 게야. 꼭 찾아서 돌아와야만 한다…너만이 그것을 찾을 수 있단다.]

사조가 무슨 뜻으로 한말인지는 모르겠지만, 한빙은 그 말을 마음 속에 두고 새겼다.
다만…밖으로 나가서 찾고 싶진 않았다. 너무 더우면 찾기도 어려우니, 전서구 몇마리와 설호를 우선 풀어놓는 것으로 시작하기로 했다.
빙궁의 차기 계승자는 아름답고 지혜로웠지만 귀찮음의 화신이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