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린 듯이 일어섰던 에이타로는 빛을 등진 상대가 자신이 마지막으로 만나고 싶었던 인물이란것을 알았다. 두 사람은 서로를 부축하면서 요양원의 옥상으로 올라갔다.

이제야 생각나는 것이지만...하고 에이타로가 운을 떼었다. 하우정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담뱃재를 바람에 날려보냈다. 덕분에 옆에 있던 여인으로부터 눈총을 샀지만 사실, 담배는 핑계일 뿐이었다. 그저 다른 사람의 비위를 긁고 싶었던 것이다.

"실제 나이보다 20살이나 젊다는 것은..."

"......"

"기실 만나본 사람이라면 금방 알 일이죠. 다른 사람 흉내를 내면서 사는 것도 스릴 있습니까?"

반도인이라면 무조건 냉소하고 괴롭혔던 그의 목소리에 물기가 돌았다. 푸르스름한 물기가...

"잠깐 일어난 사고가 일생을 바꾼 거죠."

하우정의 대꾸에 에이타로가 조금 집요하게 말했다.

"무언가에 실망했기 때문에 조국을 등진 게죠. 내가 그 사건을 보고 제국을 등진 것처럼 말입니다."

"실망...아, 내 실망이라면 조국같은 게 아닙니다."

하우정, 아니 김한두는 에이타로로부터 고개를 돌렸다.

"그 기차는 정말 있었던 것이었을까요?"

"......"

에이타로는 말하지 않았다. 하우정, 아니 김한두의 말에 따라서 가 본 그 위치에는 실존하지 않는다고 하던 기차가 실제로 있었다. 그 아수라장 속에서도 반도인들은 마치 머리가 떨어져 나가도 버르적 거리던 바퀴벌레 모양, 움직이고 있었다.

"내게는..."

한두가 말을 이었다.

"그 이야기속에서 그 기차는 없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내 추억과 같이 깡끄리..."

"기차는 있었습니다."

에이타로가 말했다.

"하지만 신문에 실을 순 없었죠."

"왜요?"

하우정이 말했다.

"설마 나같은 변절자가 없어서 그렇진 않았을테고..."

"대기자라면, 자신이 금기시하거나 싫어하는 내용의 기사라도 뛰어넘어야 합니다. 그게 격인 것이죠."

"...호오."

에이타로는 늙은 자신의 목에 힘이 더 들어가는 것을 느꼈다.

"당신은 대기자입니다. 에이타로..."

김한두는 그렇게 말한 후 비스듬히 내리고 있던 헌팅 캡을 바로 썼다.
그리고 천천히 안에서 울음소리가 들려나오는것을 기다렸다.

"우리가 마지막으로 건너야 하고, 싸워야 하는 마지막 순간이군요..."

얼마 뒤, 

터덜터덜 그 노신사가 걸어나왔다. 손에는 조그마한 수첩과 아내의 유품 몇가지를 안고 있었다.
한두는 천천히 옥상에서 내려가 그 노신사를 향해 걸어갔다. 며칠동안 비가 오지 않아 돌멩이는 그저 단단하고 건조한 느낌을 주었다.

"제국의 톨스토이 선생..."

한두의 말에 노신사, 아니 하우정이 대답했다.

"오늘만큼은 장난을 피해주시오.이 순간만큼은 그저 조용히 보내고 싶으니..."

하우정은 천천히 유품을 간추려 두 사람이 지켜보는 동안 꾸러미에 넣었다.

"성공했습니까?"

한두의 말에 우정이 대꾸했다.

"성공...인진 모르겠소. 하여간 내 평생에 옆에 두고 싶다는 건 이루었으니 맞다고 해둡시다."

몇분 전, 자신의 아내, 그리고 명의 약혼녀, 한두의 동행인이었던 설이 죽음을 맞이했다.
방사능 피해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이 거의 불가능했던 그녀였지만, 정부기관에 글을 써서 보내거나 매일신보로 연락을 하곤 했었다.
그 열정을 자신은 평생 이해할 수 없었다. 여자는 여자일뿐...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녀는 그 사고 이후 보통 여자 이상이 되어버렸다.
한번의 성공이자 한번의 실패 이후 그녀는 결코 울지 않았다.
다만 싸울 뿐이었다. 물러서지 않는 그런 싸움을...

하우정 자신과 명- 방사능 피해로 일찍 죽었다.-을 구분하지 못하게 된(역시나 방사능 피해)그녀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그는 성공했다고 중얼거릴 수 있었다.
단지 그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마음에 찬, 최고의 여인을 만난 것이 다행이라고...지켜볼 수 있어서 행복했다고...
그러니까...예전의 그 책은 더 이상 필요 없다고...

"받으시죠."

김한두가 두툼한 무엇인가를 건넸다.

"...이건?"

"에이타로 선생이 옛날에 제본한 겁니다. 선생이름이 이대로 묻히는 것은 아깝다고. 사드같은 작가로 이름을 날리는 것도 괜찮을 거라더군요...하지만 이젠 안 되겠죠..."

하우정은 그 책을 받자마자 엄청난 힘으로 책을 죽죽 잡아뜯었다.
삽화와 사진은 말할 것도 없고, 두꺼운 종이 장정도 한번에 뜯어버린 그는 가까운 휴지통에 그것을 던져 넣었다. 그리고 미리 준비라도 했던 것처럼 라이터불을 붙여 휴지통쨰로 태워버렸다.

"이젠 아무 것도 필요 없소."

우정이 말했다.

"오로지 내게는..."


-새장에 사는 새가 말했네. 내게 주어진 환경이 얼마나 좋은 지 아니?
 먹는 거 떨어질 일 없고, 항상 씻을 수 있고, 무엇보다 좋은 건 잡혀죽을 걱정을 안 해도 된다는 거야. 넌 아침이면 벌레를 잡으러 날아가고, 밤에는 무서운 짐승들 떄문에 떨지 않니...
새장속에 들어와 모든 것이 다 있으니까.
 그러자 바깥의 새들이 말했다. 우리에겐 그 모든 것이 다 필요가 없단다.
 네가 나오면 알게 될 거야...참 불쌍한 새의 생이로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