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공무원들은 총독부의 개들이었다. 총독부가 원하는 것은 한가지.

이 전쟁이 끝나도 제국의 영화를 누릴 수 있도록, 조선의 금들과 보물들을 폭포 안에 숨겨두는 것이었다. 몇몇은 성공했고, 몇몇은 중간에 탈취당했다.

그 중 몇가지는 폭포수 안에 있는 동굴에 파인 몇십, 아니 몇백미터의 구멍을 숨겨졌다.

개중에는 일제시대의 면사무소의 서기들이 높은 사람이 된 후 파내어 가지기도 했지만, 그것은 발견된 것의 일부에 불과했다.

 

“그래서요?”

 

멀뚱한 지윤의 반응에 털보는 조금 화가 났다.

 

“그래서라니. 이건 엄청나게 대단한 일이야.”

 

“병률형이 노리는 것도 아마 그런 걸 거 같긴 하네요... 아니, 형하고 날 뺀 나머지 자식들이 가지

고 싶어하는 게 그런 건가?”

 

“하네요? 그 엄청나게 비꼬는 듯한 그 말투는...”

 

“...전 이해가 안 가요. 형도 이해가 안 가고.”

 

병률과 길준에게서 도망쳐나왔더니 그 앞에 또 다른 이해불가능한 자가 있다는 건 유쾌한 일이 아니었다.

 

“그럼 이건?”

 

털보가 부젓가락으로 집어든 두꺼운 잉크통에는 굉장히 복잡한 문장이 적혀 있었다.

 

“이 글씨체는 나한테는 굉장히 낯익은 거야. 어머니 글씨체지. 아버지가 쓴 건 아니지만.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에 나한테 이 잉크통을 주시면서 선물이 3개가 있다고 말씀하셨어.

그리고 아버지 이름을 말씀하시면서 이렇게 말씀하셨지.

 

<얘야. 넌 정말 내가 널 낳은 걸 후회하지 않을 정도로 멋진 애야. 난 너의 아버지를 정말 사랑했단다. 그래서 아버지랑 난 널 위해서 선물을 준비했지. 1개는 미리 받고 나머지 2개는 천천히 찾아보라고 말하고 싶구나. 하지만 이건 내 생각이고, 네 아버지 생각은 다를지도 몰라. 그럼, 다른 2명한테서 도움을 받아서 그걸 찾으렴. 꼭 도움이 될거야. 지금 내가 네 손에 쥐어주는 금괴 하나 정도는 얻을 수 있을 거야.>

 

“그래서 난 기자를 선택했지. 충분히 먼 곳을 다녀도 되는 직업이었으니까.”

 

“.....”

 

“그 보물을 가지고 싶건 아니건 간에 내겐 그 말자체가 매력적이었어. 그래서 여기저기 돌아다녔지만, 별다른 성과는 없었지. 당연해. 아버지의 그 선물은 내게 마저 오지 않았으니까. 하지만 이젠 알겠어. 그 부자가 하나는 상속했을 테고, 나머지 하나는...”

 

“형. 꿈은 그만 꿔요. 그걸 다 알려줄 아버지는 죽었다구요.”

 

“죽어도 찾는 거야 어렵잖지. 그 보물들은 강원도에 있어.”

 

“형!”

 

“폭포수 어딘가 밑에서 사람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지. 70년이 넘는 세월을...”

 

“.....”

 

“그 보물을 만지는 그 순간, 그 얼마나 짜릿할까! 아버진 아마 그래서 그 보물들을 파내지 않았을 거야. 멋진 일이지.”

 

멋진 일이건 아니건 상관없었다. 지윤은 잉크통 뚜껑부터 밑바닥까지 적혀 있는 황금의 깨알같은 글씨를 천천히 읽어내려갔다.

 

 

내...사랑하는 아들에게 남긴다. 내가 너에게...남길...

...강원도...................품목은 금괴...................와...................비취.........루비..........

......................................동양에서...............가장...............................

.........부디................에 목매지...........않고.........지혜롭게...................

상속...........은 세......명..............이

 

 

“어머닌, 잘 알고 계셨어. 왜냐하면 이 잉크통 내 눈에 굉장히 낯익은 거거든. 기사문 쓸때 쓰시던 잉크통이었어. 그리고 상속용 선물들도 어머니가 고른 것들이었지. 어머니 다른 너희들이 걸핏하면 모욕을 주던 기자나부랭이었다고는 하지만, 아버진 어머니만을 사랑했어.”

 

“그래서요? 그게 중요한...”

 

“어머니가 상속한 물건. 그건 모두 어머니 가방에 들어있던 것들이었고, 어머닌 그것들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씀하셨지. 한 개는 가톨릭용 성경책, 한 개는 가끔 성경책 페이지가 들러붙으면 떼낼  페이퍼 나이프, 그리고 성경책에는 어울리지 않지만, 펜에 묻혀서 성경책에 가끔 몇마디씩 쓰는 잉크통. 펜은 어머니가 나중에 잉크통안에 들어갈 수 있게 개조했지."

 

성경책이라면...지윤의 머릿속에 스쳐가는 것이 있었다.

만약...그 성경책이라면...

 

“형 혹시 물어보고 싶은 게 있는데요...소 엄마가 옛날에 성경책 안에 조립식 권총을 넣은 적이 있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