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에서 기다리겠어요. 대협.>

 

 

그것은 안개였다. 자무홍의 꽃들이 은은한 향기를 뿜었을 때 그녀는 뒷모습만으로 그를 만났다. 그래서 그가 기억하는 그녀의 모습은 뒷모습뿐이었다. 말에 앉아서 타는 금을 들고 그녀는 그를 떠났다. 언제 만나자는 말도 하지 않았다. 다만 황산이라고 했을 뿐이었다.

황산에서...

그는 그녀를 다시 만나고 싶었지만, 강호의 옛 법이 그를 그렇게 쉽게 보내주지 않았다.

원수로 쌓아온 생활이 언제던가. 그는 그녀의 금을 떠올리며 몇 번이고 적을 연주했다.

 

채미홍.”

 

그러다가 독주를 마시기도 하고, 원수를 맺기도 했다. 원수의 검에 찔린 적도 있고, 원수를 죽인 적도 있었다. 그렇게 그는 발을 더욱 강호에 붙들어매었다.

하지만 그가 강호인이 아닐 때가 있었다. 패설사관 채미홍을 만날 때만큼은 떠난 그녀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채미홍은 처음부터 끝까지 땅을 밟고 서 있는 자였다.

강호와는 달리 황제의 명을 받드는 자라는 것이 걸리긴 했지만, 그건 어쨌든 좋았다.

 

수린의 금은 여전합니까?”

 

자무홍꽃밭을 떠났던 하수린은 금을 켜는 가인이 되었다고 했다. 그녀가 떠나기 전에는 악기 하나 못 다루던 그였기에, 그녀를 다시 만나면 적을 연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

 

채미홍은 말을 아꼈다. 그는 말 대신 미축에게 적을 연주하도록 권했다.

미축은 적을 입술에 갖다댔다. 채미홍이 갖고 온 남쪽 봄날씨는 하수린의 옷깃의 향기같았다.

 

“.....”

 

연주는 처음에 평탄음으로 시작했다. 그러다가 서서히 휘몰아치듯 감아올렸고, 그러다가 애조를 띄었으며 마지막에는 울음으로 끝났다.

미축은 울고 있었다,

 

“...알고 있었나.”

 

채미홍은 천천히 입을 열었다.

 

그녀와 자네와의 관계를 알고 있는 자가 수린에게 독을 먹였다네...강호는 참 무서운 곳이지.”

 

그니는 황산에 있었습니까?”

 

그는 더 말을 보태지 않았다.

 

“...황산 자무홍꽃 밑에 잠들었다네.”

 

미축은 다시 적을 들었다. 자무홍꽃 냄새를 기억하려고 했지만 기억할 수 없었다.

 

역시 그곳에 갔군요...이젠 다른 곳으로 가지 않을테니...곧 만날 수 있겠군요.”

 

떨리는 손으로 미축은 적을 잡았다.

 

미홍.”

 

? 왜 그러는가?”

 

긴 거리를 다니시느라 항상 힘드시겠습니다. 위협도 항상 받으실테고...”

 

별로 힘들지 않으이. 자네같은 검객이 내 뒷배를 봐주지 않는가. 다만 항상 아쉬운 것은...”

 

미홍이 담뱃대를 입에 물었다.

 

동네 동네 돌다보면 이 이야기, 저 이야기 많이 듣는데, 나같은 사람이 많아야 그걸 다 정리할 수 있을 거라는 것이지. 얼마 안되는 한줌이 모여서 이 대륙의 이야기를 다 엮지는 못할 것 아닌가...”

 

“......”

 

미축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침묵속에서 미홍은 그가 무엇을 하려는지 알 수 있었다. 한참 뒤에야 미축은 이런 말을 툭 던졌을 뿐이었다.

 

멀리 있는 사람의 이야기도 전해듣겠군요.”

 

미축은 2년 뒤 왕의 표식을 전해받고 패설사관이 되었다.

그리고 그가 처음 시작한 일은 대륙의 최남단 황산에서 잠든 그니의 묘지를 찾은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