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크 - 뇌를 누비는 2.1초 동안의 파란만장한 여행
마크 험프리스 지음, 전대호 옮김 / 해나무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이고 그 생각은 두뇌 활동에서 비롯되고 그 결과 무수한 발전을 이루어내고 있다

그런 두뇌에 대한 관심은 많았지만 두뇌 활동이 이루어지는 기전은 잘 모르고 있었는데 이 책은 현재까지 뇌과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풀어내는 책이다.

뇌 속에 있는 뉴런은 서로 전기 신호를 받으며 서로 소통하고 있는데 이 전기신호를 스파이크라고 부른다고 한다.

우리가 행동하고 여러 가지 결정을 내리는 모든 행위는 스파이크가 뉴런을 타고 온갖 효과를 일으킨 결과라고 한다.

저자는 이런 스파이크를 따라 여행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가가 말하는 암흑뉴런, 자발적 스파이크등의 이야기는 새롭고 신비롭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뇌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그 연구의 끝은 어떻게 될지 흥미로웠다.

최근에 컬러로 촬영된 우주 사진을 보았는데 상상조차 되지 않는 우주도 신비롭지만 우리 뇌도 그만큼 신비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리를 하나의 우주라고 부르는지도 모르겠다.

과학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우리는 왜 더 행복해지지 못하고 있는지 하는 마음도 들었다.

뇌과학에 대한 새로운 연구에 대해서 좀 더 알게 해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