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경은 소설가다.

    그런데 나는 그녀의 책을 소설로 먼저 접한 게 아니라

     심리학과 관련한 글을 먼저 접하게 되었다.

    상담 혹은 심리학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내게

    카톨릭대에서 상담대학원을 다니는 아랫층 후배 신랑이

    건네 준 책이 <천 개의 공감>이었다.

  

읽기 쉽지 않을 거라던 말처럼

하나의 이야기가 책 한 권에 담음직한 무게의 내용이어서

나는 도입 부분만 읽고서도 마음이 지쳐 버렸다.

그렇게 책장에 꽂아둔 책은 아직도 그대로다.

마음이 조금 더 여유로워지면

차근차근 읽어보리라, 마음 먹었다.

 

이 책을 주문하고 읽으면서도 살짝 긴장됐다.

작가의 호흡, 감정, 무게들을 고스란히 느끼며

읽게 될 것이 두려웠다.

 

다른 사람들은 김형경 씨의 책을 어떻게 읽고 있는지 궁금하다.

내가 산 책이 33쇄면 한번 찍을 때 천 부를 찍었다해도 3만명이 넘은 사람이

이 책을 읽었다는 건데

도대체 어떤 마음들로 읽었을까...

 

이 책에선 우리들의 기본 감정

-무의식, 사랑, 대상선택, 분노, 우울, 불안, 공포-들과

선댁된 생존법들

-의존, 중독, 질투, 시기심, 분열, 투사, 회피, 동일시, 콤플렉스-들

그리고 긍정적인 가치들

-자기애, 자기 존중, 몸 사랑, 에로스, 뻔뻔하게, 친절, 인정과 지지,

공감, 용기, 변화, 자기 실현- 등을 다룬다.

 

여행 중 단상을 적어가다 작가는

우리 안의 숨어 있는 어떤 속성들을 슬슬 끄집어내어

아주 끝까지 분석해준다.

글을 다루는 솜씨는 부드러운 듯하나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이성적이고 조금은 매몰차다.

어떤 것을 우리의 환상을 깨기도 하고

또 어떤 것들은 모르고 살면

더 편할 것 같은데

작가는 정직하게 파헤친다.

 

어떻게 보면 나도 작가와 비슷한 자기 분석을 하고 사는 사람인지라

그 패턴이 낯설지 않았지만

솔직히 읽는 동안 힘은 들었다.

내가 기존에 나의 감정 혹은 내면을 50% 정도 분석하고

그냥 그 자리에 퍼져 앉아 있었다면

김형경 씨는 지치지 않고 더 앞으로 척척 걸어가는 느낌이랄까...

 

아무튼 글이 어렵게 씌여있지도 않았는데

나는 이 책을 몇 번 들었다 놨다

다른 책도 읽었다 다시 읽고를 반복했다.

그리고 막간에 골라 읽는 책은 마음의 피로도가 덜한 술술 읽히는 책을 골랐다.

 

연달아 읽기에는 내 마음이 조금 지쳐 있는 이유로

살짝 쉰 후에

나는 김형경의 모든 책을 아주 싹 다 읽어볼 참이다.

그리고는 나도 김형경 씨처럼

내 마음의 끝까지 척척 걸어가 볼 참이다.

 ----------------------------------------------------------------- 

의와 화평이 만나는 방(http://blog.daum.net/imbeing/?t__nil_login=myblog)에 올린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아이보다 더 아픈 엄마를 위한 심리학'

  이 책의 부제다.

  신의진은 소아정신과 의사다.

  동시에 두 아들의 엄마다.

  맞벌이로 아이를 키우는,

  그것도 어디 비빌 언덕 없이 아이를 키워본 경험 덕분인지

  저자의 육아서는 엄마들을 정죄하지 않는다.

 

양육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것들 뿐만 아니라

사소한 것들까지 놓치면

내 아이가 잘못 자랄 것만 같은 겁을 잔뜩 불어넣는 육아서도 많다.

그런데 저자는 그러지 않는다.

이 책 이전에 냈던 <신의진의 아이심리백과>에서도

약을 안 먹는 아이에게 약 먹이는 법 이야기를 하면서

자기도 약 안 먹는 아이가 콜라 먹은 후에는 먹길래

콜라 먹인 후 약을 먹였다,고 고백한다.

정말 중요한 것을 하기 위해 그것보다 덜 중요한 건

조금 포기해도 된다,고 위로한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아이를 키우는 육아서들이

도움이 될 때도 많다.

하지만 내가 그 저자들만큼 인격적이지도 않고

내 아이가 그 집 아이들처럼 따라와주지 않을 때

그 책들은 나를 수십 배 좌절하게 하고

나를 소리 없이 정죄한다.

그런 점에서 신의진의 육아서는 쿨하다.

이런저런 말로 해도

똑똑한 아이! 성공한 아이!가 결론인 육아서들 가운데서

아이의 있는 그대로 자라게 하라!고 조금은 다른 소리를 낸다.

 

이 책도 결국은 아이를 사랑하지 않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이를 더 건강하게 사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자신을 더 사랑하고 격려한다.

사랑이란 이름으로 내 안의 상처를

아이에게 쏟아붇는 엄마에게,

어떻게 양육하는 것이 바른 것인지 모르는 엄마에게

태도를 논하고 가르치지 않고

왜 그런 것 같냐고

아프지 않았냐고

물어온다.

 

아이를 키우면서 수십 번 넘어지고 울면서 스스로를 자책해 왔다면

이 책은 "네 잘못이 아니야"하고

퍼져 앉은 당신을 일으켜 줄 것이다.

물론 내 잘못이 아닌 내 부모의 잘못임을 알 수도 있고

또 다른 이의 잘못으로 인해

결론적으로는 내 잘못이 되어버린

현실을 직시하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인식은 문제해결은 첫걸음이다.

 

육아가 고통스러운가?

그런데 고통스러워하는 것 자체로 스스로 정죄하고 있는가?

이 책이 조금은 당신의 고통을 감해 줄 것이다.
 

------------------------------------------------------------------ 

의와 화평이 만나는 방( http://blog.daum.net/imbeing/?t__nil_login=myblog)에 올린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