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
차인표 지음, 제딧 그림 / 해결책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자

연민과 분노 그리고 무엇보다 가슴이 먹먹해지면서

백두산 너머 붉은 노을과 정겨운 소년과 소녀의

뒷 모습이 담긴 책 표지를 멍하게 다시 바라보게 한 책이에요

 

열여섯 꽃다운 나이에 일본군에 의해 위안부로

강제 징용되어 캄보디아로 끌려가셨다가 1997년

잠시 한국에 오셨던 훈 할머니

뉴스로 접한 훈 할머니의 사연에 차인표 작가님은

나라의 힘이 없던 일제강점기 때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알리고 싶어 글을 완성했다고 해요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백두산이지만

눈을 감았다 뜨면 지금 당장이라도 그 마을에

도착한 듯 서정적이고 수려한 풍경 묘사에

1930년대 백두산 기슭의 호랑이 마을이 떠오르죠

 

아내와 딸을 해친 백호를 잡아 복수하기 위해

호랑이 마을에 찾아온 호랑이 사냥꾼 황포수

 

아버지 황포수를 따라 마을에 온 과묵한 아들 용이와

촌장 댁 손녀이자 씩씩한 순이가 마음을 나누는 장면

장면은 소나기의 소년과 소녀처럼 몽글몽글한

감성이 생각나 절로 부모 웃음이 나면서도

일본군에 의해 위안부로 강제 징용될 이야기가

뒤이어 나올 거라는 걸 알고 있어서 일까요

 

두 아이가 주고 받은 마음이 아프기도 하는거예요

 

"용이야, 언젠가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같은

엄마별을 바라볼 수 있다면 좋겠다"

 

 

중간 중간 등장하는 일본인 가즈오의 편지

애국심 하나로 일본군으로 복무한 평범한 미술학도였던 젊은이가

7년의 시간을 겪으면서 전쟁에 회의를 갖는 그 내면의 변화가 읽혀졌어요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을 읽으며

일제강점기 위안부 강제 동원의 부당함에

함께 분노하다가 그저 평범한 행복을 누리고 살고

있었던 세 주인공의 속도감 있고 밀도 있는 이야기는

 

 

순수한 젊은이들이 일제강점기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마주한 절망 속에서도 서로를 향한 믿음과 사랑,

헌신적 선택은 '사랑과 용서, 화해'라는 주제 의식을

서정적이면서도 처연하게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