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는 외계인 허블어린이 2
이재문 지음, 김나연 그림 / 허블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 외계인, 낯선 장치와 용어가 SF의 본질이 아니다. 

SF가 그려야 할 우주란 지구 밖의 공간이 아니라 

우리의 편협함과 정상 이데올로기 바깥이어야만 한다.

그런데 이 동화를 보자.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에 이렇게 집착할 수가 없다.

소수자인 얀이 지구인의 '가족'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

눈물겹게 고군분투한다.


그뿐인가.

안키노스인인 얀은 부모를 잃고 '불행'해졌다.

플라이언 어린이들의 민폐를 부모가 대신 사과한다.

어째서 지구 밖에도 이분법적 성별이 존재하며

그들 슬하의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라는 집단이 존재하는가.

왜 외계의 어린 존재조차 부모의 양육과 통제 하에 놓여야 하는가.

고작 두 달 먼저 태어난 얀은 왜 '언니'가 되어야만 하는가.

우주로 뻗어간 정상 이데올로기와 한국식 병폐의 나이 주의는

단지 상상력 부족의 산물이 아니다.

지구 밖을 꿈꾸며 읽어야 할 SF에서 왜 우주로 확장된 지구를, 

블랙홀처럼 우주를 삼켜 버린 지구를 만나야 하는가. 


주인공 미소는 왜 이리도 오만하고 까칠한가.

물론 현실에 그런 인물은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뒤집어 보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재현'은 완전한 실패다. 

그런 인물이 개과천선하는 과정이 중심 서사가 됨으로써

소수자 얀은 서사의 주체가 되지 못한 채 바깥으로 밀려나

철저히 대상화되며 온통 미소의 개과천선 과정에 소비될 뿐이다.

지구에서도 미소 앞에서 납작 엎드리고 설설 기는 얀은

고향 행성에 가서도 미소 앞에서 연신 저자세일 뿐 아니라

위험한 희생을 감행해 자신의 '쓸모'를 입증한다. 


지구 밖 행성들이 지구와 다를 바 없이 지구에 수렴하듯

얀도 고향 행성에 남는 대신 지구로 돌아와

미소의 진정한 '언니'가 됨으로써 '정상 가족'에 합류하는 결말은

우리의 편협함과 정상성 집착이 해체되기는커녕

우주를 무대로 재현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회의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미경의 마흔 수업 - 이미 늦었다고 생각하는 당신을 위한
김미경 지음 / 어웨이크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절판


위로를 건넨다는 명분으로 ‘나같은 선배‘를 앞세우는 자기 확신 너무 무섭다. 국민 언니에 에어 국민 선배로 등극하시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축구왕 이채연 창비아동문고 306
유우석 지음, 오승민 그림 / 창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인이 잘 아는 소재를 쥐고 시작한 이야기가 소재에 매몰되면서 얼마나 나태해질 수 있는가를 전적으로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닷다의 목격 사계절 1318 문고 131
최상희 지음 / 사계절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제작 '닷다의 목격'과 '그래도 될까', '국경의 시장'이 좋았다.

'사과 반쪽'은 정말 좋은 소재와 주제였는데 초단편으로 압축해 빠르게 치고 빠졌으면 더 좋았겠다. 진행되는 동안 '반전'은 눈치 챘는데 그 순간 딱 끝났다면 일갈의 묘미와 여운이 컸겠다. 후반이 늘어지면서 신선함이 반감되었다.

그 외의 아쉬운 점들이라면 


1. 표지만 보고 어린이 동화집인 줄 알았다.


2. '제물'도 좋은 이야기였는데 가장 중요한 대목을 상황과 사건이 아닌 '서술'로 정리해 버렸다는 점, 즉 작가가 전하고 싶은 핵심을 너무 날것으로, 서술자의 목소리로 드러냈다는 것이다.

(54쪽) 아무도 여자들이 돌아오길 바라지 않는다. 괴물은 없다고 말해 봐야 그들은 믿지 않을 것이다. (중략) 오랫동안 유지해 온 관습과 사회가 무너지는 것이, 그들은 두렵다.

이것을 행간과 사건 사이에 숨김으로써 독자가 발견하게 했어야 했다.


3. '튤리파의 도서관'은 아름다운 이야기였지만 설정에 무리가 많아서 몰입에 방해를 받았다.


(1) 우리 태양계도 아니고 우리 은하를 벗어난다는 설정. 우리 은하의 지름은 작게 잡아도 10만 광년. 우리 태양계는 중심부에서 대략 2.6만 광년 떨어져 있으므로 최단 거리로 우리 은하를 벗어나려면 최소 2.4만 광년을 가로질러야 한다. 빛의 속도로 2만 4천 년 동안 이동해야 한다는 뜻. 우리 은하 안을 샅샅이 뒤져도 인간이 살 만한 행성이 없었다는 설정, 그리고 웜홀이 발견되기 전인데 8년 만에 지구에서 우리 은하 밖의 T9으로 이동한다는 설정은 너무 큰 무리였다.


(2) 별은 항성을 뜻한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고온의 천체에서 생명체가 살 수 없다. 그런데도 화자가 거주하는 천체 T9을 계속 별이라 칭하고 있다. 주변의 가장 큰 행성 튤리파 부근애서 발견된 T1, T2... T9 들은 별이 아닌, 튤리파의 위성이거나 적어도 튤리파와 같은 항성계에 속한 행성이라고 했어야 한다. 


(3) 이 이야기가 지구 밖에서도 지구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음을 그린 점은 좋았지만 굳이 물리 법칙을 깨는 설정까지 넣을 필요가 있었을까 싶다. 여전히 미지의 대상임에도 픽션에 너무 많이 등장한 화성이 식상하다면 우리 태양계 내의 적당한 위성 정도로만 설정했어도, 아니면 우리 태양계를 벗어난 또 다른 항성계의 행성으로만 설정했어도 충분할 것이다. 우리 은하를 벗어난다고 해서 그 아득함과 상상력이 비례하는 것이 아니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난해지지 않는 마음
양다솔 지음 / 놀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작가라면 절친의 책에 추천사를 쓰지 않을 것 같다. 세 절친의 호들갑스런 추천사 없이 오롯이 양다솔이란 사람을 만났더라면 좋았겠다. (절친을 떠나, 출판사들이여, 추천사 남발 자제 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