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 33인의 컴퓨터 천재들
아리솔 지음, 이철원 그림 / 해냄주니어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서점에 나가면 초등학생 대상 위인동화들 다섯 권 중 한 권꼴로는 제목에 '천재'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을 정도로 위인동화가 꾸준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그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한 이들, 단지 머리가 좋아서가 아니라 자기 분야에서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투철한 프로정신을 발휘해 성공한 사람들이 이 시대의 새로운 위인상이라는 것인데, 그 인물들의 스펙트럼이 기획 컨셉에 따라 비슷한 듯 다종다양하기도 하다. 

최근 읽어 본 두 권의 인물 이야기도 마찬가지.
그 중 하나인 <무한도전! 33인의 컴퓨터 천재들>은 그간 수없이 복제되고 재생산돼 이젠 식상할 만도 해진 '천재'들의 이야기에 좀더 세밀한 돋보기를 들이대 좁고 깊게 틈새를 잘 골라낸 책이다.

이런 종류의 책들은 사실 대부분 아류라는 뻔한 이름표를 달고, 출판사의 트렌드 따라잡기 혹은 구색 맞추기 차원에서 잠시 주목받았다 그렇고 그런 평작들의 무덤에 자연스럽게 묻혀 버리기 마련. 하지만 이렇게 컨셉만 잘 파고들어도 일단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할 수 있으니, <~ 컴퓨터 천재들>이 바로 그런 컨셉이 잘 맞아떨어진 책이라는 느낌이다.

목차에서 보듯 이 책에는 컴퓨터와 관련해 이미 익숙하거나 생판 낯선, 소위 말해 시대를 앞서간 컴퓨터 천재들 33명의 성공신화가 소개돼 있다.

개중엔 이미 21세기형 위인 리스트에 고정 멤버가 돼버린 빌 게이츠를 비롯해 HP 컴퓨터로 익숙한 이름 데이브 팩커드&빌 휴렛, 안철수, 손정의, 온라인 게임신화로 유명한 김택진까지, 고작 수십 년의 역사를 지닌 컴퓨터 산업이 눈부신 속도로 인류발전할 수 있었던 키워드를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풀어내고 있다. 

33인의 컴퓨터 천재, 인류의 역사를 놀랍게 진화시킨 인물들의 일화들을 살펴 보면 그들이 한 분야에서 얼마나 치열하게 깊은 우물을 파는 데 일생을 바쳤고, 그 치열함의 대가는 또한 얼마나 달고 값진 것인지 더 크게 와닿는다.

다만, 그들 자신의 부귀영화나 명예를 견고히 하는 데 지난 업적이라면 그냥 그런 식상한 역사 속의 위인으로 화석처럼 남아 있겠지만, 그들의 선택과 결단의 결과들이 거창하게는 인류, 가깝게는 나 개인의 삶에도 지대한 영향과 발전을 가져다 주었으니 내게는 그들이 단지 본받아 마땅한 천재요 위인 이전에 참 고마운 선지자들로 다가온다.

기계와는 절대 친할 수 없는 나라는 인간조차 인터넷과 노트북 없는 세상이란 캄캄한 절벽이나 다름없을 만큼 디지털화된 인간으로 진화하고 있는 데는 모두 이런 선지자 혹은 디지털 문화 혁명가들이 편리하게 일궈놓은 디지털 텃밭이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니, 나에겐 고마울 따름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선정된 국내 인물 중 상당수가 게임 개발자들이라는 사실.
확실히 우리나라의 게임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대단하긴 한가보다. 아니면 그 외 기술적인 분야는 세계적 수준을 따라가기 버거운 정도이든가. 사실 잘 모르는 분야이기 때문에 얼마나 대단한 성과인지 체감하기 어려운 것이리라.
 
이 책을 통해 놀라웠던 사실 중 하나는, 알집이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사실(나만 모르고 있었던 듯한)는 점.
이렇게 새롭게 알게된 사실들이 책을 쉽게 놓지 않게 만드는 힘이었다. 근래 봐온 여러 '00천재' 시리즈들 중 그나마 눈에 띄었고, 나름 흥미있게 읽었던 책. 

꿈을 향해 도전하고픈 의욕을 북돋워 주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권해 준다면 게임과 컴퓨터와 친밀한 세대인 만큼 동기부여 하나는 확실하게 해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