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 아이 그림이 있는 책방 1
카타지나 코토프스카 지음, 최성은 옮김 / 보림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고슴도치 아이>는 ''입양''과 ''가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아이를 간절히 기다리나 만날 수 없는 젊은 부부는 유독 온몸이 가시로 뒤덮인 아이를 입양합니다. 아직은 완전한 ''가족''이라고 할 수 없는, 한 번을 안기 위해서도 반드시 아픔이 수반되어야 하는 고슴도치 아이 피오트르. 아이의 온몸에 돋힌 가시는 세상의 시선이 만든 편견과 상처, 바로 그 아픔의 상징들입니다.

가시가 돋혀 있는 한, 아이는 어딜 가나 사람들의 불편한 시선을 받아들여야 하고, 부부 역시 아이를 안을 때마다 가시에 찔리는 아픔을 겪어야만 합니다. 입양아에 대한, 이보다 더 솔직한 상징이 있을까요.

아이를 가슴으로 보듬고자 하는 부부의 노력은 눈물겹도록 아름답고, 그 사랑의 온기가 전해질 때마다 아이의 몸에선 가시가 하나 둘 떨어져 나갑니다. 떨어져 나간 가시만큼 아이는 사랑과 온기로 성장해 갑니다.
그리고 마침내...피오트르는 한밤중에 깨서 처음으로 "엄마!" 하고 외치던 날 밤...온몸의 가시가 남김없이 사라져 버립니다. 온 가슴으로 진정한 ''가족''으로 서로를 받아들인 순간, 비로소 ''고슴도치 아이''는 평범한 가족의 일원인 보통의 ''아이''가 될 수 있었던 거죠.

"엄마, 엄마가 나를 낳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엄마가 대답했습니다.
"그래, 나도 그러고 싶었단다. 하지만 아무리 애를 써도 너를 낳을 수 없었어. 그런데 정말 고맙게도 엄마 대신 다른 엄마가 너를 낳아 주셨단다. 덕분에 네가 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고, 우리가 이렇게 함께할 수 있는 거야. 아가야, 엄마는 너를 정말 사랑한단다."

꼭 뱃속으로 낳은 아이만이 내 아이일까요?
다른 엄마에게서 버려진 아이가 아니라 다른 엄마가 ''대신'' 낳아 주었을 뿐...가슴으로 낳았기에 아픔과 기쁨이 더 크다는 사실을 절제된 그림과 가슴을 두드리는 한 구절 한 구절의 글 속에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피오트르를 입양해 키운 작가는 아이에게 들려 주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낸 것이라고 합니다. 고슴도치 아이를 사랑과 인내로 감싸안는 부부와 마음을 열어 준 아이의 모습이 가슴 뭉클한 감동으로 오래도록 남는 건 아이를 낳았듯 가슴으로 그리고 쓴 이야기이기 때문이겠지요.

입양을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고, 아이를 입양해 키우는 부모들은 참 대단하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저만 해도...내가 낳아 키운 아이 하나도 벅차고 감당이 안 될 때가 많은데, 배 아파 낳지도 않은 아이를 내 아이처럼 키울 자신이 없다는 것이 솔직한 심경입니다.
하지만, <고슴도치 아이>는 입양이 특별한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들 부부가 특별히 대단하고 칭송받을 인물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들이 그랬듯 책 속의 부부 역시 아이를 처음부터 진심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웠고, 가시 돋힌 아이를 안아야 하는 것만큼 불편한 아픔도 겪은, 평범한 부모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제게 이들 부부의 모습은 저 같은 사람이 흉내낼 수 없는 용기와 감동으로 남습니다.

이 이야기의 진정한 감동은 ''용기''에 있습니다.
의젓한 청년으로 자라 하늘로 날아간 아이...부모는 그 동안 기쁨이 되어 준 아이를 잡는 대신 손을 흔들어 아이를 떠나 보냅니다. 떠나 보내는 슬픔도 크지만 아이의 힘찬 날갯짓에 기쁨과 감사를 보태어 ''부모''가 마지막에 자식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커다란 ''용기''를 보여 줍니다. 감히 흉내내기 힘든 숭고한 용기와 사랑의 힘입니다.

''가족은 핏줄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글귀가 진정 가슴으로 와닿는 이야기.
읽는 내내 온몸의 혈관들이 뜨거워지고, 나 자신 ''부모''라는 사실을 부끄럽게 만든 이야기.
내 아이가 이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을 때쯤, 무릎에 앉혀 심장과 볼을 맞대고 엄마의 목소리로 읽어 주고픈 이야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