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 - 세계적인 심리학자 존&줄리 가트맨 박사의 관계 심리학
존 가트맨.줄리 슈워츠 가트맨 지음, 정미나 옮김, 최성애 감수 / 해냄 / 2024년 12월
평점 :
해냄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 이 책은 는 심리학자 존 가트맨 박사와 그의 아내이자 동료 연구자인 줄리 슈워츠 가트맨 박사가 쓴 책이다.
갈등을 건강하게 해결하고,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책은 40년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커플 간의 갈등이 왜 발생하는지, 그것을 어떻게 다루어야 더 건강하고 행복한 관계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갈등이 없는게 답이 아니다" "사랑을 갈등을 통해 더 단단해진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책에서는 갈등은 자연스러운 것임을 강조한다.
많은 사람들이 싸움을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지만 저자는 갈등이 인간 관계에서 자연스러운 부분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갈등이 없으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갈등을 무조건 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잘 해결할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이 필요하고, 그 해결 바업ㅂ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관계는 더욱 단단해질 수 있다.
그 중심에는 갈등의 원인 그리고 싸움의 유형을 아는것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책에서는 이러한 갈등의 대표적인 원인과 싸움의 유형을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대응하거나 문제를 무시하거나 회피하는 경향
이러한 것들이 관계에 문제를 생기게 만든다고 한다.
이 부분을 파악한 후 자신의 싸움 방식에 대해 반성을 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배울 수 있다.
저자는 무엇보다 상대방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싸움을 할 때 상대방의 감정을 경시하ㅓ나 무시하는 태도는 싸움을 더 악화시킬 수 있음을 말한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려 하고 감정을 인정하며 소통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행동
비판 방어 경멸 무시를 소개하며 이를 어떻게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행동이 지속될 경우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ㅇㅖ방하고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등 스타일에 통하는 마법의 비율 (82-83)"
싸움에 긍정성 더하기
다음과 같은 긍정적 교류를 나누세요
사과하기
미소짓기
고개끄덕이기
공감하기
마음을 안신시켜 주는 신체적 접촉
파트너의 말 존중하기
당신의 파트너의 공통점을 부각시키기
어떤 문제에서의 당시의 역할에 책임을 인정하기
좋은 지적이라거나 정말 타당한 말이라고 맞장구치기
두 사람 모두가 맞다는 점을 말하기
예전의 갈등을 잘 해소했던 때를 상기시키기
농담을 나누며 웃기
이 책은 가트맨 박사가 진행한 수 많은 연구를 바탕으로 한 실제 사례들을 소개하는데
커플들이 갈등을 어떻게 겪고 해결하는지를 사례를 통해 풀어내면서 읽는 이로 하여금 실제 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팁을 준다.
행복한 커플들은 싸울 때 건설적인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법을 알고 있다
서로를 공격하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와 자세가 중요하다.
책을 통해 싸움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닌
싸움을 어떻게 다루는지가 관계의 미래를 결정짓는다는 것이 마응에 와닿는다.
갈등을 해결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을 존중하고 감정을 인정하며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가려는 마음가짐 그리고 태도일 것이다.
책을 통해 보다 건강하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 관계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주리라 생각된다.
관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갈등을 극복하는데 좀 더 필요한 실용적인 방법을 찾고 있는 이들에게 추천하는 책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

책임을 인정하기 (402)
요즘에 스트페스가 심하고 짜증이 많았어
지나치게 예민했어
그동안 내가 내 속마음을 별로 말하지 않았어
감정적으로 신경 끄고 지냈어
기분이 우울했어
요즘 자꾸 시비를 걸게 되네
내가 우리 둘이 오붓하게 보낼 시간을 내지 않았어
필요한 게 있어도 말하지 않았어
내가 계속 희생당하는 기분이 들었어
혼자 있을 시간이 필요했어
다른 데 몰두하고 있었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이 너무 떨어져 있었어
계속 허전함이 느껴졌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