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다움의 사회학 - 남자를 지배하는 ‘남자라는 생각’
필 바커 지음, 장영재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다움의 사회학

얼마전 태어난 둘째로 인해,

나는 세명의 남자와 함께 살고 있다.

남자로 살아가기 위한 생각과 행동..

솔직히 여자와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몸소 느끼고 있다.

그래서,

알고 싶었다.

남자는 무엇인지,

나는 내 남편을 비롯한 나의 두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게 되는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지,

간접적인 경험이나마 하고 싶었다.

그래서 선택한 책

남자다움의 사회학

그러면 안되지만,

종종 토라지는 내 아이에게 나는 가끔

"에이~ 남자는 삐지는게 아니야... " 라는 말을 하곤 한다.

깊이 반성하는 바이다.

그만큼 우리는 남자에 대한 무언가를 기대한다.

그만큼 남자는 참아야 한다는걸 기대한걸까?

왜 남자는 참아야 하며, 감정을 드러내면 안된다고 생각한걸까? 같은 인간인데 말이다.

넘어진 우리집 어린이에게 달려가 괜찮아? 보다는...

혼자 일어나길 기다린다.

그리고 일어나는 우리집 어린이에게 와~ 씩씩하고 용감하네... 라고 말한다.

과연 내 아이가 여자아이라도 그렇게 이야기 했을까?

얼마 전,

아이의 학원에서 잠시 기다리는데,

한 남자아이가 너무너무 상냥하고 천천히 그리고 조곤조곤 이야기 하고 있는것을 보았다.

옆의 친구가

"야~ 넌 너무 여자같이 말한다. 목소리가 그게 뭐냐? 여자같다.."

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왜 우리는 남자에게서 목소리에서부터 남자다움을 바라는걸까?

이렇듯 남자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남자답게 생각하고 행동하라고 끊임없이 교육받고 강요당한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것과, 강함을 표현하는것...

그리고 모든 관계에서 주도해나가기를 그리고 앞장서서 해결하기를 강요..받고 있는 것이다.

그래야만 남자답다고 칭찬받는다.

그래야만 남자다운 행동이라고 말한다.

한국 사회에 광범위하게 뿌리내린 가부장제와 권위주의사상으로 인하여 여전히 남자는 남자다워야 함을 강요하지만

남자아이라서 파란색을 좋아해야한다

남자아이라서 씩씩한 아이여야 한다.

이런 추론은 이 사회에서 언제까지 정답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런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서

남자다움에 대해 사히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 저자의 이 책

남자다움의 사회학

변화하는 밀레니엄 시대에 원하는 남성상도,

배우자상도 달라지고 있다.

이제 나의 미래의 행복과 건강을 위해 남자다움의 의미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보아야겠다.

그리고 내 아이는 건강한 남자다움을,

소통하고 공감하는 남자다움을 가질 수 있도록

양육자인 내가 남자다움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야 겠음을 ... 그리고 양육에 있어 노력해야겠음을 다시 한번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