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의 언어 - 더없이 꼼꼼하고 너무나 사적인 무라카미 하루키어 500
나카무라 구니오 지음, 도젠 히로코 엮음, 이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책이 너무 예쁘다.

손에 쏙~ 들어오는 이 그립감^^'' 거의 700페이지나 되는 이 책의 두께에도

책을 넘기기가 너무 쉽다.

이 책은 나카무라 구니오라는 하루키의 팬이 모이는 북카페의 대표의 작품이다. 그는 하루키의 매력의 실체가 너무나도 궁금하여 아예 하루키를 철저히 연구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이제 그는 자신보다 하루키에 대해 더 잘 아는 하루키스트가 되었다고 한다. 실제 일본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궁금하면 나카무라 구니오를 찾아라~ 라는 말이 떠돌 정도라고 하니 .. 그의 하루키에 대한 열정에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있다.

하루키의 언어에는 하루키가 작가이자 생활인으로서 자주 쓰는, 혹은 하루키만이 쓸 수 있는 모든 말이 포함된다. 작품명, 등장인물, 독특한 비유, 작품 속 특유의 상징과 장치, 문학적 영향을 주고받은 작가들 등은 물론이고 하루키가 초등학교 졸업 문집에 실은 첫 작문, 젊은 시절 경영한 재즈 카페, 자신 있게 자랑하는 요리, 고양이·다림질·달리기·재즈처럼 하루키가 일상적으로 사랑하는 것 등 다분히 개인적인 정보까지 알차게 꿰뚫어 500여 개의 무라카미 하루키 언어가 나온다.

하루키의 언어는 무라카미 하루키를 이해하려면 꼭 알아야 할 그의 키워드를 사전 형식으로 만든 책이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무려 500여개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언어가 나온다.

이 많은 많은 언어만큼이나 두꺼운 책의 두께, 역시나 책은 두껍다.

하지만 전혀 부담스럽지 않다!

 

Q. 하루키 작품의 가장 큰 주제는 무엇일까요?

A. 초기에는 현대인의 고독과 상실감이 주된 주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와 분리된 것 같은 고독 그렇다면 인간관계를 어떻게 수복할 것 인가 하는 문제가 하루키의 큰 주제 중 하나입니다. 수복한다는 표현은 과장됐는데, 어긋난 인간관계는 그리 간단히 고쳐질 리가 없으므로 그 대신 사회성을 배제한 소설 속 세계에서 판타지적 SF적 신화적인 요소로 그것을 메우는 거죠. 저는 이것이 하루키의 기본적인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Q. 예리한 지적입니다. 당신은 하루키 문학의 어떤 면에 재미를 느끼나요?

A. 외국인 독자에게 하루키 소설의 재미를 들자면, 강하게 공감할 수 있는 서양적 고독이 섬세하게 묘사되는 동시에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신화적 요소가 곳곳이 심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자신의 고독과 상실감을 잊게 해주는 '어른의 동화'같은 요소가 그의 소설에서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역시 하루키 작품의 주제에 대해 위와 같이 말하고 있다.

나 역시 하루키의 작품을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것이 그의 작품을 통해 많은 상실감과 고독감을 치유할 수 있음이 아닐까 생각했었다. 나라, 문화가 다름에도 그의 글에는 치유가 있다.

 

그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세계를 나무에 비유했다.

어느 숲속의 큰 나무가 오랜 시간에 걸쳐 생태계를 형성하며 환경을 정화해 나가듯,

'하루키'라는 나무가 어느새 커뮤니티라고도 할 수 있는 거대한 가상공간을 만들어냈다고

루키 월드에는 수수께끼 같은 키워드가 롤플레잉 게임처럼 숨겨져 있다.

마치 인디아나 존스가 수수께끼 편지에 의지해서 정글에 감춰진 크리스털 해골을 발견하듯,

독자는 '반복적으로 쓰인 기호 같은 말'을 실마리 삼아

하루키가 이야기 속에 심어놓은 '보물'을 찾는 것이다.

하루키를 아직 모르는,

하루키의 글을 아직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도,

오랜 세월 하루키의 팬이었던 많은 사람들도 다 같이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 책

하루키의 신작에 대한 기다림의 설레임을 이 책과 함께 , 하루키의 언어를 탐색해보는건 어떨까?

혹여 그동안 놓쳐버린 하루키의 보물을 이 책을 통해 찾아보는 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