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하버드 수학 시간 - 삼수생 입시 루저의 인생 역전 수학 공부법
정광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라곤 “예스, 노”만 하는 수준. 우여곡절 끝에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캠퍼스(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에 입학했다. IBM,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회사에 입사하겠다며 컴퓨터과학과에 들어갔는데 ‘버그 생성기’로 불리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다행히 수학 복수 전공으로 무사히 졸업에 성공, 2006년부터 미국 보스턴에서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현재 재벌 자제들과 유명 학원들의 러브콜을 받는 보스턴의 스타 강사로 수많은 제자들을 하버드대, MIT, 존스홉킨스대 의대 등 명문대에 진학시켰다. 나이 마흔에는 하버드대 익스텐션 스쿨에 입학, 수학 교육(Mathematics for Teaching) 전공으로 2년 만에 석사 학위를 받고 ‘올 A’로 졸업했다. 현재 미국 보스턴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수학 콘텐츠 개발을 병행하고 있다.

위는 이 책의 저자 정광근님에 대한 프로필이다.

영어라곤 예스, 노만 하는 수준이었던 그가, 어떻게 미국 보스턴에서 수학을 가르치기 시작했을까?

삼수생 입시 루저의 인생 역전 수학공부법이 궁금하다!

수학 참 어려운 과목이다.

하지만 즐기기 시작하면 참 즐거운 과목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나는 수학을 좋아했다. 고 2 2학기가 되기 이전까지 --;

고2가 되면서 미적분...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이 나오니 나도 모르게 슬~~~~쩍 손을 놓고 말았지만...

그런데 요즘 우리 아이들은 안타깝게도 초등학교 5학년, 아니 3-4학년부터 수포자가 생긴다고 한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그는 이 책 나의 하버드 수학시간에서

등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올바른 수학 공부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등호를 제대로 이해해야 등식과 방정식의 풀이 과정을 이해 할 수 이쏙, 이어서 함수와 미적분을 배울 수 있다고 한다.

 

이 공식을 보고 정말 뜨끔했다.

아직 우리 아이는 방정식을 진행하고 있지 않지만

나도 이 책을 보지 않았다면 이렇게 뛰어넘는 널뛰기 풀이법으로 아이를 가르쳤을 것 같다.

기본 원리가 너무 당연해 보이는 나머지 새삼스럽고 귀찮은 논리 단계는 무시하고 비약해버리는 구태

정말 반성해야 할 우리나라의 교육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또한 그는 수학에서의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하는 능력 기초체력을 중요시 여겼다. 그리고 이런 기초 체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반복이라고 했다.

아이와 함께 수학을 하다보면 반복학습을 너무너무 싫어하는 아이와 부딪히곤 한다.

하지만 그 어떤것보다 기초체력이 우선이라는 그의 말을 기억해야겠다.

그는 우리에게 삶의 무기가 되는 수학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세상에 나가 만나는 많은 난제들은 주제와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그리고 세상은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 어제의 데이터, 오늘 아침의 데이터, 1시간 전 데이터, 1분 전 데이터가 다 다르다. 한때 모든 사람들이 옳다고 믿었던 것이 하루 아침에 거짓으로 판명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순식간에 그 자리를 차지한다. 이럴 때일수록 수학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패턴을 파악해 미래를 예측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도구들을 수학에서 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 수학 계통도를 보며 개념 간 연결 고리를 파악하라

2.기초 쌓기엔 개념서 다독보다 문제풀이가 더 좋다

3. 쉬운 문제 여럿보다 어려운 문제 하나를 붙들어라

4. 매일 10분보다 하루를 제대로 투자하라

5. 무조건 암기하기보다 묻고 이해하며 공부하라

그가 알려준 이 수학의 정도와 함께 수학계통도를 기반으로하여 하부 개념부터 하나씩 해결해나가야겠다.

공부는 엉덩이로 한다!

우리 아이도 진득~~~ 한 엉덩이를 가진 어린이로 성장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