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나키즘 : 사상편 한국의 아나키즘 시리즈
이호룡 지음 / 지식산업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사회운동은 그 사회운동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는 사상적 기반 위에서 이루어진다. 1920년대 이후 활발히 전개된 노동, 농민, 청년, 사상 등의 각 분야의 사회운동도 사회주의 사상이 수용된 후 그 사상적 기반 위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일제시대 전개된 사회운동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1920년대 초반에 수용된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사상적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마르크스 레니니즘에 기초한 공산주의 사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1920년대 초반 국내 사회주의 수용기의 사상적 조류에서 아나키즘적 경향이 중요한 조류 였음은 분명하다.

1919년의 3.1운동은 계급, 지역, 종교, 신분, 나이 등을 초월하여 전국민이 참여한 한국 최초의 민족주의적 성격의민족 독립운동이었으며 이는 한국민족운동의 큰 전환점이 되었다. 1920년대로 접어들면서 독립운동은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그것은 이데올로기적으로 대치되는 다양한 급진적 사조가 수용되어 기존의 외교론, 실력양성, 무장투쟁론 등 다양한 민족주의적 독립투쟁이론과 함께 계급투쟁을 주장하는 사회주의 등이 병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급진적 사조중에서 마르크스 레니니즘이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한국독립운동에도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이들 급진적 사조들도 식민지하의 당면 과제였던 일제를 구축하는데에는 이의가 없었지만 광복 후의 사회 건설에는 민족주의 이념과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급진적 사조중에서는 아나키즘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아나키즘은 일제시대의 한국독립운동사상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음에도 정당하게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