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밤의 영화관 -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는 시간
이은선 지음 / 클로브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깊은 밤의 영화관

-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는 시간


0. 기대감

영화 저널리스트 이은선님의 '깊은 밤의 영화관'. 책 제목만큼 부제가 매력적이다.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는 시간'

그래. 맞다. 영화를 보는 행위는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는 시간이다.

영화를 보는 장소나 매체도 다양해졌으니 더더욱 '상영관'이 극장을 지칭하는 수준을 넘어 각자의 상영관을 지칭하는 것이 틀림없다.

부제목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는 시간]이라니.

한 편의 영화가 끝나고 엔딩크레딧이 올라가며 불이 켜지는 시간을 가리키는 것일까.

아마도 이 시간은 여러 행위가 이루어진다.

분주하게 짐을 챙기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천천히 배경음악을 들으며 영화 내용을 음미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물론 나의 경우는 후자가 절대적으로 많다.

하지만 불이 켜지는 시간동안 영화의 내용이 완전하게 반추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늘 해소되지 않는 의문이 남는 경우가 많고, 그러다 반복 관람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의문이 해소되지 않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영화를 보는 행위는 그야말로 [깊은 밤], [각자의 상영관]에 앉아

영화 속 인물들, 연출자의 의도 등과 소통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영화를 보는 것은 연출자의 의도를 그대로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관객의 배경지식, 영화를 보는 '지금 현재'의 상황 등과 영화 내용이 종합적으로 교섭이 이루어지는, 또다른 대화행위임이 분명하다.

아마 이은선 저자의 의도도 이러할 것이라 생각한다.

저자도 독자들이 <깊은 밤의 영화관>의 책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원치는 않을 것이다.

관객들이 영화를 보고 자신만의 대화를 하듯,

독자들도 영화 개별작품을 매개로 하여 <깊은 밤의 영화관>의 내용과 대화하듯 읽기를 바라실 것 같다.

이 책을 속독하기보다, 한 영화 한 영화 에피소드마다 곱씹으며 읽어보고 싶다.

ps. 며칠 전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보고 아내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던 것이 떠오른다.

나는 2차 관람이었기에 영화의 큰 줄기를 이미소화했다고 생각했는데,

아내는 첫 관람이었음에도 내가 놓친 많은 부분들을 이야기해주어, 첫관람 때와 다른 의미를 안겨주었다.

한 편의 영화로 이리도 많은 대화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의미가 만들어질 수 있다니.

<깊은 밤의 영화관>을 통해서 [깊은 밤] [나만의 상영관]에서 또 다른 대화를 이어나가고 싶다.

1. 펼쳐보다

기대대로 각자의 상영관에 불이 켜지고

영화라는 대상을 어떠한 마음으로 보게 되는지를

이은선 작가님만의 시선으로 서술되어 있었다.

2. 회복의 밤

늘 성장을 갈망한다.

그러다 에너지를 소진하기도 하지만,

회복의 시간이 있어 내일이라는 문을 또 열어낸다.

드라이브 마이 카, 나의 올드 오크, 더 퍼스트 슬램덩크

하나같이 명작이지만, 로봇드림에 대한 서술에 눈길이 간다.

Remember me.

로봇과 도그의 만남.

영화관에서 보면서도 눈시울을 붉혔지만

이은선 작가님의 감상을 보면서도 그때의 감동이 되살아났다.

한 구절, 한 구절

한 문장, 한 문장이 영화관에서 봤을 때에 맞먹을 만한 촉감으로 다가왔다.

요즘 사람 대 사람으로서의 위안을 받은 적이 드물었나보다.

영화란 이렇게 어떠한 상황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다가온다.

사유의 밤


존 오브 인터레스트.

최근에 봤던 작품 중 아내와 가장 많은 이야기를 나눈 작품이었다.

혼자 봤을 때 놓쳤던 장면, 놓쳤던 복선들을

나 이외에 다른 사람과 함께 봤을 때에 더 많은 의미로 다가온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낙원과 지옥으로 나누어진 상황

아우슈비츠 뿐만 아니라 우리네 삶이 다 그런 것 같다.

하루하루가 전쟁이다.

이은선 작가님이 써놓은 '존 오브 인터레스트' 챕터를 세 번 이상 읽은 것 같다.

영화를 보면서 울컥했던 장면들을

작가님도 비슷한 시각으로 바라본 것 같다.

영화 감상이란 일종의 대화행위이다.

감독이나 등장인물과 관객, 관객과 또다른 관객과의 일종의 대화.

공상의 밤


요즘 한밤중에 혼자 눈이 떠져 멍해질 때가 많다.

공상일까.

듄, 가여운 것들, 보 이즈 어프레이드...

하나같이 많은 고민, 궁금증을 안겨준 작품이었다.

단순히 궁금증 해소로 이 부분을 읽고 싶지는 않았다.

공상의 밤에 서술된 다양한 작품들에 대한 서술을 바탕으로

나만의 영화관에서 다시 불을 켜고 싶은 심정이었다.

스탠드 아래에서 단숨에 읽어갈 수 있는 책이 있는 반면,

깊은 밤의 영화관. 이 책은 천천히 음미하며 읽고 싶은 책이다.

얼죽아가 아무리 유행이라 할지라도

아아를 단숨에 들이키면 원두의 깊숙한 구수함을 전혀 느낄 수 없는 것처럼,

나만의 영화관 불이 꺼진 후 천천히 음미하며 곱씹어가며 읽고 싶은 책이다.

이은선 작가님의 후속 책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