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왕을 꾸짖다 - 상소로 보는 역사 이야기
신두환 지음 / 달과소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비, 왕을 꾸짖다(www.weceo.org)


직언(直言)

1 옳고 그른 것에 대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기탄없이 말함. ‘곧은 말’, ‘바른말’로 순화.

비슷한 말 : 당사9(讜辭)·당언(讜言).

충신이라면 직언을 서슴지 않아야 한다.

언짢은 눈치이면 되도록 조심을 해야 하고 직언을 피해야 된다

• 출처 : 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2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


요즘 같이 그때그때 달라요(?)라고 말을 하고 상황에 어떻게, 시간에 어떻게 어떻게 변해가는 시대에 직언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봄직도 하다.


왕에게 진언하는 것은 고도의 기교를 요하는 일이었다. 허튼 소리를 해서는 안 되는 것은 물론, 자신의 견해나 잔소리까지 모두 한 자 한 자 따져가면서 써야하고 엄격한 문테에 따라 글을 작성하여 공격하는 마음으로 공손히 바쳐야 한다.


상소문은 분명하고 진실하며 독실하고 정성을 근본으로 한 논리적인 글이다. 신하가 임금 앞에 올리는 글에 잘못이 있을 수 없다. 사실을 분석하고 통찰하여 강직한 충성심으로 뜻을 세워야 책임을 완성할 수 있다. 현재의 정치상황을 예리하게 분석하여 잘못을 비평하고 넓은 식견으로 비교하고 선택하여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옛 신하들의 관례와 격식을 전범으로 삼아서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를 이해하며 번잡한 사건도 조리있게 진술하여 문제의 핵심을 잡아서 풀어내는 장치가 바로 상소문이다.

상소문을 통해 역사의 뒤편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를 생생하게 맛볼 수 있다.



http://www.weceo.org/



이곳 (http://www.weceo.org/)에 오시면 많은 책과 공부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