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8 (10주년 특집판)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8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적 약자, 즉 언더독의 약진이 눈에 띄고 있는 지금의 다양한 현상을 포괄하는 의미로, 무술년(戊戌年) 개띠 해 2018년의 트렌드 키워드로 「WAG THE DOGS」을 제시한다'


이 책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2018년 트렌드를 예측한다. 2018년의 키워드로 'WAG THE DOGS'을 제시하였는데,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는 이 말은 현재 우리 사회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지난 12년간 한국 사회의 트렌드 키워드 분석을 통해 아래 9가지 공통의 흐름(MEGATREND)을 발굴했다.


① Monetary Value : 소비의 변화1 - '과시'에서 '가치'

② Experience : 소비의 변화2 - '소유'에서 '경험'

③ Get Now-and-here : 현재 만족에 기꺼이 투자

④ Active Consumers : 소비자의 능동적 활동

⑤ Trust : 소비자에게 '신뢰가 중요

⑥ Responsible Consumption : '개념 소비'를 즐기고 과시

⑦ Evolution of the Sharing Economy : '공유경제' 확산

⑧ No Stereotypes : 개성 있는 소비

⑨ Discord between Competition and Relaxation : 대립되는 개념이 병존    ex) '경쟁과 힐링'


이 책에서 제시하는 2018년 경제, IT, 사회문화의 거시적인 경향은 다음과 같다.


- 경제전망 : 최저임금은 상승이나 국제 유가안정으로 물가 상승률 2%대. 금리는 완만하게 상승전망

- 나라살림 : 우리나라 총수입 447조(7.9%↑), 총지출 429조(7.1%↑), 보건/복지/노동 분야에 집중편성

- IT 기술 : 3가지 핵심 키워드 - 지능형(Intelligent), 디지털(Digital), 그물망(Mesh)

- 사회문화 : 6월 지방선거, 평창동계올림픽, 러시아월드컵, 웰다잉 법, 콘텐츠 전쟁, 인도어 문화


2018년 트렌드의 핵심 키워드는 아래와 같다.


① 작지만 확실한 행복 「What's Your 'Small but Certain Happiness'?」

   2017년 트렌드 YOLO(현재의 행복에 충실하자)에 대한 대답 → 작지만 확실한 행복, 소확행(小確幸)


② 가성비에 가심비를 더하다. '플라시보 소비' 「Added Satisfaction to Value for Money」

   제품의 '성능'인 가성비의 열풍 속에서 마음의 만족, 즉 가심비(價心比)를 추구하는 경향


③ '워라밸' 세대 「Generation 'Work-Life-Balance'」

   직장은 나의 전부가 아니며 일과 삶의 균형(Work-Life-Balance)을 추구. 돈보다 스트레스 제로


④ '언택트' 기술 「Technology of 'Untact'」

   매장에서 점원이 필요없는 무인(無人)서비스. '무인(unmanned)', '셀프(sefl)', '자동화(automation)'


⑤ 나만의 케렌시아 「Hide Away in Your Querencia」 ※케렌시아: 투우장의 소가 잠시 숨을 고르는 공간

   현대인이 몸과 마음을 추스리는 제3의 공간. 1코노미 시대에 나홀로 족의 '집' 혹은 '카페'


⑥ 만물의 서비스화 「Everything-as-a-Service」

   모든 가치가 서비스로 재창출. 공급자가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이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급


⑦ 매력, 자본이 되다 「Days of 'Cutocracy'」

   소비가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 쓸모는 없지만 감성을 구매    ex)빨대 안경, 예쁜 쓰레기 선발대회


⑧ 미닝아웃 「One's True Colors, 'Meaning Out'」

   과거에는 잘 드러내지 않았던 취향, 자기주관, 정치적 신념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SNS로 공유


⑨ 이 관계를 다시 써보려 해 「Gig-Relationship, Alt-Family」

   랜선이모, 티슈인맥, 반려식물 등 관계에도 '가성비의 원칙'을 적용한 새로운 대안관계 등장


⑩ 세상의 주변에서 나를 외치다 「Shouting Out Self-esteem」

   누구나 SNS와 연결되어 있지만 정작 필요할 땐 혼자인...고립의 시대에 위기를 맞은 나의 자존감 


삶의 태도가 소소한 행복(소확행)의 추구로 바뀌고,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세대가 도래했다. 무인, 자동화 서비스로 대면관계가 사라지는 '언택트' 기술이 등장하고, 전통적인 혈연관계가 해체되며, 사회관계망을 통한 일회성 관계가 증가하는 것도 큰 흐름이다.

한편, 기술의 발달은 공유의 보편화를 가져왔고 '만물의 서비스화'를 앞당기고 있다. 현대인의 휴식 공간인 '케렌시아'가 확대되고, 주관을 표현하는 '미닝아웃'이 대세다. 이 밖에도 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을 추구하는 '플라시보 소비', 고립의 시대에 위기의 '자존감 회복'을 트렌드의 큰 축으로 기술했다.

축적된 메가트렌드의 흐름과 2018년 트렌드 분석을 통해 다가올 미래의 맥을 짚고 방향성 수립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경제의 힘 - 인공지능(AI)시대, 문화경제가 답이다
최연구 지음 / 중앙경제평론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의성이란 남이 보지 못하는 가치를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적 가치는 눈에 보이는 가치가 아니다. 하지만 상품의 차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2%는 결국 창의성, 감성, 문화적 가치 등이다.'


이 책은 사회변화를 문화의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우리는 언제부터 문화에 관심을 기울였을까? 근대 학문에서 사회과학의 핵심은 경제학이었다. 경제학은 논리적으로 사회 현상을 설명하고 경제 현상을 풀어냈다. 이 시기에 경제는 사회체제의 중심이었으므로 이를 해석하는 경제학은 영향력이 컸다. 한편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경제자본', '정치권력', '문화적 위광'이 사회의 본질을 결정한다고 생각했다. 막스 베버 이후 사회과학은 경제 외에도 정치권력과 문화에 보다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실제로 높은 생산성으로 사회가 발전하고 물질적으로 풍요해지면서 사람들의 삶의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여유시간의 증가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은 소프트파워가 중요한 시대이다. 2004년 하버드대학교 조지프 나이 교수는 '소프트 파워'라는 책을 출간했다. 소프트 파워란 군사력, 경제력 등 물리적인 힘인 '하드 파워'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강제보다는 매력을 통해 상대를 움직이고 동의를 이끌어 내는 능력이다. 상대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에는 물리적 힘보다는 보편적 문화나 공감 같은 것이 더 강력하다. 하드 파워의 지향점이 부국강병이라면, 소프트 파워는 문화강대국이다. 20세기까지 강대국이 하드 파워로 주도했다면,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로 소프트 파워가 주도할 것이다. 여기서 문화는 학문, 예술, 과학, 기술 등 인간의 창조적 산물을 포함한 모든 분야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문화적 가치는 중요하다. 경제, 사회, 문화의 관계를 보면, '경제'는 생존을 위해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만들고 소비하고 분배하는 활동이나 관계다. '사회'는 인간이 모여 사는 외면적 틀을 가리키고, '문화'는 인간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행위양식이나 가치를 말한다. 즉 사회가 형식이라면 문화는 콘텐츠나 내용에 해당된다.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에게는 서로 간에 동류의식이 싹튼다. 사회는 문화없이 성립될 수 없고, 문화는 사회 속에서 성장 발전한다.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대결에서 보았듯이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압도적이다. 향후 청소로봇, 육아로봇부터 로봇교사, 로봇판사에 이르기까지 로봇은 정보처리력과 합리적 판단능력을 갖추고 인간이 수행하는 직업들의 상당 부분을 대체하게 될지도 모른다. 미래에는 단순 반복 노동, 조립 및 제조 등의 산업 영역이나 금융 등의 경제 영역은 기계나 인공지능이 맡고, 감성과 상상력을 가진 사람들은 주로 문화예술이나 콘텐츠 산업 등의 영역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다.


미래사회를 창조하는 것은 우리의 창의성과 상상력이다. 창의성이 중요해질수록 인간의 상상력이 핵심가치로 부각될 것이다. 미래에는 문화와 과학기술의 역할이 커질 것인데 이들의 공통점은 상상력에 있다. 상상력은 창의적 문화를 만들고 새로운 과학기술영역을 창조하는 힘이다.


문화는 시장에서 큰 힘을 발휘한다. 비슷한 노력을 하고도 어떤 기업은 수익을 올리고 어떤 기업은 그렇지 못한다. 수익률 차이를 좌우하는 2%의 요인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이제는 문화적 요인이 중요해지고 있다. 똑같은 성능, 똑같은 사양의 상품이라도 어떤 상품은 디자인이 독창적이어서 가격이 비싸다. 또 이미지, 브랜드 가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고 상품에 담긴 재미있는 스토리가 가격을 높여 주기도 한다. 모든 사업은 상상력, 아이디어로부터 시작되지만 그 성패는 문화에 달려 있다. 경제현상이 눈에 보이는 물결이라면 그 저변에 흐르는 잘 보이지 않는 큰 해류는 문화현상이다.


따라서 문화의 관점에서 사회의 변화를 이해해야 큰 그림을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신 이슈 & 상식 2017년 11월호 - 무료 동영상 제공, 언론사 대기업 취업.면접 필수 도서 / 주요 언론사 선정 이슈 30선 수록
시사상식연구소 지음 / 시대고시기획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분야에서 엄선하여 자료의 수준이 높습니다. 우수한 상식 콘텐츠와 읽을거리가 많아 커버리지가 넓고 언론사가 선정한 이슈도 제대로 담아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이버 -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
하형록 지음 / 청림출판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웃을 향한 희생은 언제나 나에게 풍성한 삶의 지혜와 내 노력으로는 가질 수 없는 고귀한 삶의 품격을 가져다 주었다 (p.242)'

 

이 책은 팀하스(TimHaahs) 건축설계회사의 설립자인 하형록 회장의 드라마틱한 삶에 관한 것이다. 그와 그의 회사 이야기는 몇해전 공중파 방송에서도 본 기억이 난다. '어려운 이들을 돕기위해 존재한다'는 경영철학과 성경의 말씀을 실천하는 그의 회사는 올해 20주년으로, 미국 동부 최고의 건축설계회사로 성장하였으며 미국의 젊은이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하는 100대 회사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의 기적적인 성공 스토리는 첫 저서인 'P31'에서 경영이념, 인생철학과 함께 잘 드러나 있다.

 

저자의 두번째 이야기인 '페이버'는 하나님의 축복과 그의 개인적인 이야기에 촛점을 맞췄다. 1991년 고속도로에서 심실빈맥증으로 의식을 잃게되고 생사를 오가는 지경이 되었다. 2년 동안 위기의 순간을 겨우 넘기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고, 하나님을 만났고, 하나님의 사람이 되었다. 그리고 언제일지 모르는 심장이식을 기다리며 죽음과 마주하고 있음에도 자신보다 절박한 환자에게 심장을 양보하는 결단을 내렸다. 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에 모든 것을 버리는 선택을 한 것이다. 그 이후에 심장을 공여받아 기적적으로 생명을 연장하고 팀하스를 시작하면서 하나님의 축복과 삶의 기적을 경험한다.

 

저자가 말하는 페이버는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가는 이들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은혜이며 선물이다. 자신의 소중한 것을 이웃에게 양보했던 것과 같이 자신도 이웃으로 부터 소중한 것을 나눔받는 것이다. 페이버는 참희생을 통한 은혜받음을 말한다. 그리고 참희생은 내 몸과 같이 이웃을 사랑하는 것을 진실로 실행하는 것이다. 내게 없어도 되는 것을 나눔하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너무나 소중한 것을 이웃에게 기꺼이 나누어 줌으로써 받는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인 것이다.

 

논픽션은 픽션이 가지지 못하는 힘과 감동이 있다. 저자는 이웃사랑을 삶과 비지니스에서 실천하고 있으며 하나님이 주시는 페이버를 넘치게 받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하나님을 믿고 참희생으로 이웃을 사랑하고 도울때 하나님의 페이버가 온다고 한다. 진실한 희생이야 말로 우리가 추구하는 모든 가치를 가져다 준다. 먼저 양보하고 조금 더 희생하며 이웃과 함께 선하게 살아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참희생으로 이웃을 진실되게 사랑하겠다고 결심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황에 더 잘나가는 불사조 기업 - 20년 불황에도 연 10% 이상 성장한 52개 일본기업
서용구.김창주 지음 / 더퀘스트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고 소비자의 가격 지향과 품질 지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가치혁신(value innovation)이 필요한 때다 (p.75)'


이 책은 일본의 대표적인 강소기업 52개를 선정, 분석하고 공통적인 DNA를 추출해서 설명해준다. 기업의 1차적 목적을 영속성과 수익성의 확보라고 할 때 지난 수십 년간의 경제 혹한기에도 매출과 수익을 동시에 증가시킨 기업들의 성공비결과 참모습을 보는 것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저자는 우리보다 앞서 20년 이상 저성장을 경험한 일본에 주목한다. 일본 경제는 1991년 이후 버블붕괴로 내리막을 걸었고, 현재는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시장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통상 일본의 거시적 경제 흐름은 일정한 시차를 두고 한국에서 재현된다. 실제로 기업의 수명은 줄어들고 있고 IT 혁신으로 무장한 새로운 진입자가 시장 변화를 주도하며 '저성장'이 일반화된 뉴노멀 시대이다. 이 시대에는 소비자 수가 감소하고 기존 일자리와 비지니스가 재편되며 기업의 통제력도 줄어든다. 그럼에도 잘 나가는 기업은 분명 존재한다. 이러한 기업의 모습에서 우리가 어떤 비전과 태도를 가지고 사업을 해야 하는지 인사이트를 보여 주고자 한다. 구성은 크게 3부분으로 아래와 같다.


① 1부 : 세계 경제의 글로벌 트렌드 변화 7가지를 '기술', '소비자', '소비환경'의 관점에서 정리

→ 파괴적 혁신, 소비자 수 감소, 1인 가구, 100세 수명, 도시, 절대 가치, 옴니채널

② 2부 : 일본의 시장 환경과 기업의 경영 환경 분석 (1991년 이후~)

③ 3부 : 52개 불사조 기업과 선정이유, 공통점 분석


저자는 1991년부터 2015년까지 매출이 성장한 기업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이들 기업을 보면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매년 지속적인 성장과 높은 수익을 달성하고 있다. 평균 성장률이 12%이며, 수익성은 16%이다. 둘째, 소매업이 전체 52개사 중 31개사이다. 경영의 흐름이 '제품'에서 '서비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셋째, 특정지역에 거점을 두고 지역밀착 경영을 한다. 또한 이들 기업들은 끊임없이 가치 혁신을 한다. 장기 불황을 겪으면서 일본의 소비자는 더 좋은 상품을 값싸게 구매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결국 좋은 품질과 서비스,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기업이 생존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들 기업의 성장과 수익 비결에서 5가지 DNA를 발견했다.  


① 고객 친화적 영업력 - 오직 고객에서 집중하고 고객에게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경쟁력 강화

② 차별화된 가치 제공 - 각각의 고객에게 특화된 가치와 서비스 제공하는 전문성으로 무장

③ 강한 직원 결속력 - 내부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강한 결속력

④ 신뢰받는 사회적 친화력 - 제품의 사회적 가치에 지속적으로 투자

⑤ 창의적 역발상 - 미래를 예측하고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실행능력 보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업의 수명은 단축되고 있다. 기업의 영속성은 수익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의 필수조건이다. 초우량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살아 남아야 한다. 이 책에 소개된 기업들의 독자적인 노력과 소비자 지향 이념,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한 가치혁신 등을 통해 시장 환경과 기업 경영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