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질 - 현대 과학이 외면한 인간 본성과 도덕의 기원
로저 스크루턴 지음, 노정태 옮김 / 21세기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정말 유전자의 복제품에 불과할까?

진화심리학이나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비롯하여 인간은 결국 동물일 뿐이라는 시선에 반대하며,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하여 쓰여진 책이다. 정말 다양한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의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도킨스 롤즈,아우렐콜나이,마르틴부버,피터스토로슨,다월 등등. 처음 들어보는 철학자들이 이렇게 많을줄이야.

지은이는 로저 스쿠루턴으로 영국의 철학자이다.

책은 1)인간이라는 종 2)인간관계 3)도덕적 삶 4)신성한 의무 4개의 챕터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인간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가에 대해서는 2가지 관점이 있을 수 있다. 인간의 육체와 정신은 하나를 이루고 있다는 관점과 인간의 육체와 정신은 별개로 이루어져있다는 관점이다. 이 책은 두번째 관점을 취하면서 논지를 구성한다. 육체와 자아(=영혼)를 별개로 보는 관점이라 해석된다.

사회생물학적으로 접근해 볼 때 도덕성은 인간 유전 물질을 손상 없이 유지하는 것 외의 다른 명백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게 도덕과 종교의 개념은 쓸모없는 것으로 치부되지만 과연 그럴까.

자아와 타자는 인식이라는 단 하나의 행위를 통해 의식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는 내가 나를 1인칭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내개 부여함과 동시에 다른 이 역시 나처럼 1인칭이라는 것을 내가 인식하도록 요구합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본질은 나와 너의 관계이다.

책에서는 1인칭 관점과 2인칭 관점이란 단어를 빈번하게 서술한다. 책의 이해를 위해서는 1인칭 특권이란 개념을 알아야 한다. "나의 내면은나만이 독점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그 진위의 판단 역시 전적으로 나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심리철학에서는 1인칭 특권이라고 한다. 이는 결국 자아를 의미하는 것일게다

타인이 없이는 자아도, 도덕도 없다

이러한 자기 인식은 타자에 의해 자아에 부여된 인정에 의존한다. 타자에게응답할 때 나는 그들이 나처럼 그들 스스로에게 현존하며, 그들의 생각, 느낌,의도에 대해 별도의 탐구 없이 내게 답해줄 수 있다고 여긴다는 것이다.

너를 통해서만 인식할 수 있는 나. 결국 인간은 2인칭적 시점에 의해서만, 즉 상대방인 너를 통해서만 나를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사회적 존재자 고유의 존엄성을 지닌 인격체라는 것이 인간이라고 받아들이면 옳은 것일까?

 

철학적 지식이 풍부하지 못한 내가 읽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산재해 있었다. 이 책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일단 철학적 기초가 단단히 서야 할 것 같다. 교양철학 수준의 지식도 갖추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읽기에는 조금 깊은 논의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생각이다. 철학과 학부생정도의 철학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도전해볼 만한 책이다. 아마도 흥미를 느낄 것이다.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 의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10-25 0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깊은 성찰에 의해 판단된 나의 자아를 타자가 잘못 인식하거나 평가한다면 얼마나 자아 정체성에 혼란을 겪지 않겠어요. 심오한 내용입니다. 잘못 이해한다면 개똥 철학이 될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