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인생의 조건 - 장자에게 배우는 CEO가 읽는 클래식 1
이인호 지음 / 새빛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지금 행복을 느끼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네 지금 행복하답니다.]라고 대답할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매일 반복되는 생활속에서 사회에서는 좋은 소식보다 살인,강간,폭행,경제의 불안함 등등의 불안한 소식을 들으며 살아가고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대스타들 혹은 대기업의 간부의 모습을 보면서 부러움을 느낄수도 있다. 상류층의 생활과 많은 사람들의 관심속에 자신의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마지막 선택을 하고야 말았다. 그뿐만 아니라 어린 학생들은 학업의 스트레스를 받아 잘못된 선택을 하기도 한다. 이들이 행복을 느꼈다면 이러한 선택을 할수 있었을까?

 

옛부터 많은 선인들은 행복이라는 가르침에대해 전해주었다. 특히 장자(莊子)는  도가사상의 대표자이다. 도를 만물의 근원이라 여기며 자연을 벗삼아 물흐르는 듯이 흘러가게 하며 도를 추구했다. 욕심,탐욕을 절제하며 살아갔다고 한다. 보통 도를 추구하면 세상을 등지고 은거하는 기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저자의 말에 따르면 장주는 은거 기인보다는 자유인이라 말한다.  

 

장자가 말하는 행복의 조건이 무엇을까? 탐욕을 하지마라 탐욕을 부를수로 화를 입는다고 말한다. 그리고 명예와 인기를 버리면 삶이 즐겁다고 이야기를 한다. 속박과 구속에서 벗어나라고 이야기한다. 문뜩 법정스님의 무소유가 생각난다. 무소유에 보면 난을 선물을 받았는데 이 난으로 인해 구속당하고 집착을 갖게되었다고 한다. 난을 버리고 나니 마음이 즐겁다고 이야기한다. 요즘 시대에 행복을 얻기위해는 무엇이 필요한가라고 물어보면 대부분 대답이 "돈"이라고 말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돈에 집착하고 구속하게 되면은 자신이 필요한 돈보다 더 가지고 있어도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더 많은 돈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한다. 그럼 더욱 더 돈에 집착을 하게 된다. 얼마전 오스트리아의 백만장자가 자신의 불행은 돈으로 시작되었다.라면서 자신의 재산을 전액 기부했다고 한다. 반대로 돈이 없어서 불행한사람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돈은 행복의 잣대가 될 수는 없지만 생활에 꼭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공부를 하고 직업을 갖고 노동을 하는건 분명 돈을 벌기 위해서 하는 행동일수도 있다. 그러나 행복을 위해서 욕심과 탐욜을 절제 하며 노예가 아닌 장자처럼 자유인이 조금더 행복에 다가가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