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즐거움 (양장)
히로나카 헤이스케 지음, 방승양 옮김 / 김영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왜 배우는가?

인간의 두뇌는 과거에 일어난 일이나 얻은 지식을 어느 정도는 잊어버리게끔 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인간의 두뇌는 과거에 습득한 것의 극히 일부밖에 기억해 내지 못한다.

그런데 왜 사람은 고생해서 배우고, 지식을 얻으려 하는가?

 

책을 읽거나 공부를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가끔 이런 한계에 부딪혀 고민할때가 있을 것이다.

열심히 공부한다고 했는데,,, 열심히 책을 읽긴 읽었는데,, 주인공이름이 생각이 나지 않고, 줄거리가 잘 떠오르지 않고, 어휘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런 의문에 대한 해답을 준책이라 무척 반가웠고, 만나는 사람마다 추천해 주고 싶은 책 중의 하나이다.

 

그 해답은 창조를 위한 것이라 하겠다. 창조를 위해서는 우선 배워야 한다고 수학자이자 작가인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말하고 있다.

자신은 평범한 상인의 자식으로 태어나 평범한 사람으로 유년시절에 크게 두각을 나타나지도 않았고, 대학 3학년이 되어서자 수학의 길로 들어선 늑깍이 수학자이지만 배우고 또 배워 결국은 아무도 풀지 못하는 <특이점 해소>에 관한 수학 문제를 풀어 냈다. 그리고 수학의 노벨상인 <필드상>까지 타게 되었다.

그러한 자신의 학문의 경험을 후학자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쓴 자서전적인 글이다.

 

참 진솔한 문체로 사람의 마음을 감동 시키면서 그리고 어떤 열정을 가지게끔 유도하는 내용의 글로 이루어져있다.

끝부분 추천사에도 있듯이 자신이 천재라고 생각하지 않고 평범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이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말하고 있다.

평범한 우리들로서는 희망을 주는 메세지인 셈이다.

 

배우고 배우다 보면 지혜의 깊이가 생기고 지혜의 넓이가 , 지혜의 힘이 생겨 결국 창조로 이르는 길로 접어 들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러나 저자의 큰 재산이었던 끈기로 무엇이든 끝까지 해내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도 말하고 있다.

너무 지나친 경쟁의식은 오히려 창조의 에너지에 방해가 되며, 질투는 사람의 마음을 흐리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가끔씩은 체념을 할줄 알아야 하고, 나는 바보이니까 하는 마음으로 소박한 마음, 초심을 잃지 말고 자만심에 빠져 성공을 흐리게 만들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자신이 알지도 못하는 새로운 나에 대해 발견하려면 <깊이 생각>하고, 느긋하게 기다리고, 기회를 잡을 행운이 오면, 끈기를 가지고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잠자는 가능성을 찾아 내어 유치하다고 볼수 있는 창조의 초기 작품을 일단 만들어 보라고 조언한다.

 

너무나 좋은 말들이 많아 어린 초학자들에게도 알려 주고 싶고, 나이 들어 게을러 지고, 열정이 식었다고 생각될때 이런 메세지들이 나의 잠자고 있는 에너지를 깨울수 있어 나혼자 읽기에 아까운 책이다.

 

학문의 즐거움.. 논어의 학이편에 나오는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배우고 때때로 익힌다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2500년전의 성현인 공자때부터 이런 말들은 무수히 있었지만 누구하나 제대로 깨닫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