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다독에 대한 강박감이 있었던 나에게 많은 위안을 주는 책이다. 다독으로 인해 얻을 것도 있겠지만, 꼭꼭 눌러 읽거나 들여다보면서 더 많은 감수성을 찾아 낼수 있는 정독법이 훨씬 힘을 실을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흘려 읽어야 되는 책도 있지만 고전 인문학은 흘려 읽어 이해 될 법한 글들이 아님을 읽어 본 독자들은 다 알 것이다. 저자 박웅현님의 강독중에 읽었던 책도 있겠지만 안 읽었던 책이 더 많아 앞으로 숙제가 더 많아 지는 것에 행복해야 할 처지다. 박웅현님의 추천 책 중에는 읽어 내기가 힘든 저자의 책들이 많은데, 그 중 한 사람이 <김훈>님이고, 또 한사람 <알렝 드 보통>의 저서들이다. 처음 접했던 <김훈>의 <칼의 노래>에서 많은 감동이 있었고, 아름다운 문장에 탄복을 했었다. 하지만 그냥 쉽게 써도 될 만한 에세이 <자전거 여행>에서 왜이리도 어렵게 느껴지든지 그는 참 현학적이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라고 치부해 버리고 내 머리로는 도저히 공감할수 없는 부분들이 많았었다. 그래서 점점 더 김훈이라는 저자에 대해 거리감만을 느껴 오던 차였다. 그런데, 박웅현님의 강독으로 보자면 김훈은 들여다 보기와 통찰력의 대가라고 봐야 된다. 자두하나를 표현해도, 수박을 표현해도 상세한 관찰뒤에 느끼는 감상을 비유와 은유의 메타포로 서술하고 있으니 꼭꼭 씹어 읽지 않으면 이해되지 않을 것은 당연할 일이다. 덕분에 김훈이라는 저자를 다시 바라보기로 했다. 이 책을 읽은 첫번째 큰 이득이라면 이것이다.난해함을 극복해야 할 한 사람 <알랭 드 보통> 아저씨, <여행의 기술>,<동물원에 가기>의 두권을 읽고 이 분이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 정말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사실들을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은 알겠는데, 설명이 너무 어렵다. 내가 읽어 보지 못한 그의 저서 <우리는 사랑일까>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책은 젊은 나이에서 바라 보았다고 보기 어려울 정도의 사랑에 대한 통찰이 숨어 있다는 사실에 놀랍기 그지 없다. 사랑에 대한 감정을 독자에게 이입하는 것이 아니라,(감정이입이라면 정말 잘 할수 있는데) 사랑의 감정을 해부하고 있는 것이다. 있는 감정을 그대로 표현해 받아 들이도록 유도하고 있는 서술들을 감정이입을 좋아하는 독자인 나에게는 어려움으로 와닿을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아직 읽지는 않았지만 곧 읽으려고 책 까지 사놓은 <불안>에서는 현대인의 불안 심리를 켜켜히 해부하여 불안을 이야기 하니 오히려 이책을 읽으면 불안한 마음이 들지 않는다고 한다. 불안 할까봐 미루어 두었던 책을 빨리 집어 들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위의 저자들의 저서에 비해 니코스 카찬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는 좀 재밌게 읽었다. 하지만 조르바가 참 이해 되지 않았고, 여자의 입장에서 여자를 단순하게 아름다움과 추함으로 비교하고, 여자를 성적인 존재로만 파악하는 그가 이해되지 않았다. 역시 박웅현님의 강독으로 많은 사람들이 조르바에 열광하는 이유를 알게 되는 이득을 나는 얻게 되었다. 조르바는 소설의 주인공 나인 지성인에 비해 동물적이고, 생각보다 행동이 우선시 되는 지중해성 철학으로 똘똘 뭉친 그리스 남자라는 사실이다. <육신이 만족을 해야 영혼은 기쁨으로 넘치게 되는 거라고,그래서 머리로 이해하지 말고 가슴으로 이해하라고 > 조르바는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이렇게 강독해주니 쉽게 와닿는다. 하기야 이건 내가 책을 읽을때 꼭꼭 씹어 읽지 않은 탓도 있을 것이다.
그리스인 조르바나 이방인 뫼르소나 , <현재에 집중하라><순간을 살아라><오늘을 즐겨라>라는 <카르페디엠>의 지중해성 철학정신으로 무장한 사람들이다. 신의 존재를 무정하고, 내세를 위해 살아야 한다는 기독교적인 신념에 위배되는 행동을 서슴치 않았던 뫼르소 역시 <행복은 멀리 있지 않고 여기에 , 지금 순간에 있다>는 당연한 진리를 역설하고 죽어간다. 갑자기 깨닫는 것을 돈오라 했던가? 깨달음은 새것이 아니라 항상 낡은 것이다. 무엇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을 발견하는 것이 깨달음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이것도 발견해야 알수 있는 것이지, 그냥 그렇구나 하는 이해는 깨달음이 아닐 것이다. 그런 깨달음의 정진을 점수라고 한다. 깨닫기만 하고 수련하지 않으면 금방 잊어 버릴 것이니 항상 깨닫기 위해서는 , 얼어 붙은 감수성을 깨뜨기기 위해서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여러가지 만물과 그리고 사람과 소통하고 교감하기 위한 것으로 책만한 것이 없다 하지 않았는가? 감수성이 없어, 감동과 감탄이 없어 경직되어 있는 자들, 창의력이 없다고 자책하는 당신, 창의력과 감수성은 멀리 있지 않다. 가까운 인문학에 있으며, 인문학을 담고 있는 책속에 있으니 들여다 보고 통찰하는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자연에 대해 인문학적인 말걸기를 통해 자연을 들을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은 벌써 창의적인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