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보면 지식을 요하는 책을 읽고 싶을때가 있고, 또 삭막한 시간의 흐름속에서 잔잔하게 감성을 울리는 소설이 읽고 싶어 질때가 있다. 그런데 너무 감성을 자극하는 소설만 계속 읽게 된다면 더 허무해지는 경험을 많이 했었다. 마음이 메마르다고 느낄 때 읽으면 좋을 책이 바로 <두근 두근 내인생>이라고나 할까. 이 소설에는 생노병사가 확실히, 그것도 너무 신속하게 진행되는 <조로증>을 앓는 <한아름>이라는 열일곱살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죽음을 전제로 한 이야기는 슬퍼질수 밖에 없다. 눈물샘을 자극하기도 한다. 다 읽고 나면 카타르시스가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말이 이책의 독후에 하는 말들일 것 같다. 주인공 한아름의 부모가 지금의 한아름의 나이인 열일곱 꽃다운 나이에 아름이를 낳는다. 어린 부모가 낙태를 생각하지 않고 낳아 기른다는 전제하에 어린 부모의 생명에 대한 책임감이 주요한 교훈으로 떠오르지만 그들은 얼마나 괴롭고 힘들었을지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그런 어린 부모에게 엎친데 덥친격으로 세살부터 아이가 조로증이라는 병에 걸려 생사를 오락가락 하여 간호에 열중을 해야 하는 운명에 놓인 것이다.
그런 당사자인 한아름은 오히려 씩씩하다. 책을 많이 읽어 똑똑하고, 빨리 늙어 버린 만큼 조숙하다. 글도 꽤 쓸줄 안다. 이런 아름이가 살고 싶어지고, 하고 싶은 일이 생겨간다. 열일곱의 남자 청소년이 생의 의미를 찾는 다면 무엇일까? 거창하게 장래의 계획을 세워 꿈을 향해 나아가는 것~ 그건 너무 교과서적이다. 한아름이도 본성에 충실한 호르몬을 가지고 있는 아이였다. 우연히 메일 주고 받기를 하게 된 또래의 여자 친구에게 호감을 느끼고 삶의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한다. 

열일곱에 걸맞지 않게 조숙한 아름이는 빨리 늙어 버려 그런지 세상의 이치를 빨리 깨닫는다. 부모가 어린 나이에 자기를 낳은 것도 사춘기 시절에 겪을수 있는 열병으로 당연하다고 받아들였고, 그 열병을 오히려 찬양하는 글도 쓰게 된다. 인생에서 출세, 공부, 직업 , 꿈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자신이 남자면 남자로서, 여자면 여자로서 매력을 알아 주는 이가 나타나 사랑을 해 보는게 큰 의미일것이다. 그런 보편 타당한 사실을 조로증에 걸린 열일곱 아이의 눈으로 바라 볼수 있게 이 소설은 스토리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세밀한 묘사와 철학적인 감성을 넣어 능청스러움이 보이는 이야기를 펼쳐 나가는 신인 김애란 작가의 문체가 참 마음에 든다.
앳되어 보이는 나이에 많은 문학상들을 섭렵하고, 그녀의 첫 장편에서 인간의 욕망을 밉지 않게 그려 내고 있다. 사춘기에 느끼는 두근 두근 설레이는 마음을 주인공의 부모에 적용시켜 생명의 잉태에 대한 필연성을 부여해주고 있다.

그리고 조로증을 앓고 있는 주인공 아이의 심정을 너무 정확하게 표현해 내고 있다.

 

135 " 그래도 아마 이중에서 가장 오래 살았을걸요?"

.... 

"너무 아플때는 , 우리 엄만 그걸 '지랄발광'이라 하는데, 그럴때면 하루가 정말 길게 느껴져요. 일분이 한시간 같고, 어느때는 영원 같고, 그런 하루를 계속 살아왔잖아요. 저 , 그러니까 주관적인 시간으로만 따지면 내가 아저씨나 누나보다 더 산거예요."

 

 

249 그렇게 피었다 사위어가는 것들의 기운을 먹고, 우리는 자신이 영원히 죽지 않을 거라 자만하는 나이, 그 찰나의 정점 속으로 달려가게 될터 였다.

 

 

자신은 영원히 죽지 않을 거라 자만하는 나이, 열일곱에 주인공 아름은 철저히 그 죽음을 예상하고, 병의 고통을 인내한다. 아리따운 꽃 한송이를 얄미운 신이 똑부러뜨리는 꼴이 되어 버린 형국이다.

이 소설에서 또 주목하고 싶은 인물을 들자면 옆집 장씨 할아버지다. 노년인데도 불구하고 자신보다 나이 많은 아버지를 위해 어리광을 부려 주는 효자 할아버지.... 그 장씨 할아버지가 인생의 진리를 죽어가는 아름에게 이야기 해준다.

 

299 나이란 건 말이다. 진짜 한번 제대로 먹어봐야 느껴 볼수 있는 뭔가가 있는 거 같아. 내 나이쯤 살다보면.....음, 세월이 내 몸에서 기름기 쪽 빼가고 겨우 한줌, 진짜 요만큼, 깨달음이라는 걸 주는데 말이다. 그게 또 대단한 게 아니예요. 가만 봄 내가 이미 한번 들어봤거나 익히 알던 말들이고, 죄다."

 

나이가 들면 깨달음을 갖게 되지만 그 깨달음이라는 것도 어디선가 한번쯤 들어봄직한 당연한 인생의 진리가 왜 그나이가 되어서야 깨달아 지는 것인지 안타까움을 이야기해주고 있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흔하디 흔해 보이는 교훈들이 왜 나이가 먹어야 보이고, 들리고, 깨달아 지는지 좀더 일찍 깨달아지면 안되는 것인지 아쉬워 했을때가 많았으리라.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빨리 늙어 버린 아름이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진리를 일찍 깨달은것이 좋았을까, 아니면 몸의 나이와 다르게 실제 나이에서 깨닫고 싶었을까?

안타까운 한 영혼의 독백을 지켜 보면서 독자는 진정한 카타르시스를 맛보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