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 역으로 말하면 미쳐야 미친다.
정민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이야기의 저자인 정민선생님의 또다른 이야기이다. 한문과 한시를 연구하시는 정민선생은 고서를 공부하다가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열정을 한데 끌어 모아 이책을 내셨다. 한시대를 열광케 한 지적, 예술적 성취 속에 있는 광기와 열정을 읽어내고 싶었던 모양이다. 허균, 권필, 홍대용,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정약용, 김득신, 노긍, 김영 등 그 시대의 메이저리거들이 아니라 마이너들의 열정이 오히려 후대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간파하고 그들의 내면 읽기를 시작해보았다.

 

벽(癖)이란 편집증, 한곳에 대한 몰입이 지나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어찌 보면 정신병적인 면으로 보일지 모르나 다른 이면으로 본다면 한 분야의 정통을 이루어 나가는 집념에 해당되고, 열정을 뜻한다. 

요즘 시대에 이런 벽에 들리어 학문과 예술에 미쳐 있는 사람들을 발견하기 어려움에 한쓰러워 하고 있다. 아니 게임이나 도박에 미쳐 사회적인 병폐를 만들어 내는 가벼운 벽질을 가진 사람들이야 얼마나 많은가? 하지만 진정 학문의 긍지와 지적 열망, 예술혼의 성취에 대해 몰입하는 이가 있긴 하지만 많지 않음을 한탄하고 있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람은 <김득신>이란 사람이다. 그는 정말 노력하는 둔재로 이름나 있는 시인으로, 머리가 너무 나빠 글을 깨우치는데에도 글을 암기하는데에도 많은 시간이 걸려야 되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독수기를 지었는데, 만 번을 읽지 않은 책은 그 독서록에 올리지 않을 정도로 독서광이었다는 것이다. 서당개도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그렇게 많이 읽고도 잊어 버린것을 주워 들은 문장을 하인이 외우고 있을 정도로 그는 둔재였다. 하지만 그는 포기 하지 않았다. 많은 천재들이 그 당시에도 있었지만 쉽게 기억하고 제것으로 만들지 못해 그들은 한 점의 문장도 남기지 못했지만 김득신은 뒤늦게서야 시인의 반열에 올라 서는 쾌거를 이뤄낸다.

 

p. 65 부족한 사람은 있어도 부족한 재능은 없다고 했다. 부족해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어느 순간 길이 열린다.

 

p. 67 노력은 하지 않으면서 싫은 소리는 죽어도 듣기 싫어하고 칭찬만 원한다.....지금도 세상을 놀래키는 천재는 많다. 하지만 기웃대지 않고 자기 자리를 묵묵히 지키는 성실한 둔재는 찾아 볼수가 없다.

 

정민 선생님은 진정 똑똑해서 겸손하지 못한 천재들 보다 부족하지만 노력하하는 성실한 둔재들이 많아 지기를 바라고 있다.

하기야 이런 이야기는 둔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수 없다. 노력하면 , 성실하다면 언젠가는 길이 열린다니, 포기하지 않는 일만 남아 있으니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있어야 한다.

편벽됨이 질병이 아니라 자기가 하는 일이 남들이 보기에는 미친짓으로 보이지만 자신은 좋아서 행복해서 그일을 해내는 그들이 진정 벽에 걸린 자들일 것이다. 현재에도 그런 사람들이 성공하는 것을 많이 본다. 자신이 좋아서 한 일이 묵묵히 몰입하는 그들이 그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어 타의 모범이 된다.

뛰어난 천문학자로 태어났지만 그의 재능을 시기하는 세상때문에 빛을 발하지 못하고 굶어 죽은 천재 김영을 아는지...

간서치로 알고 있는 이덕무가 <아무도 알아주는 이 없고, 알아 줄 기약도 없는 막막함 속에서도 제 가는 길을 의심치 않았던 그 믿음이 정민선생은 두렵다>고 말했다.

 

83 그 처참한 가난과 신분의 질곡 속에서도 신념을 잃지 않았던 맹목적인 자기 확신, 독서가 지적 편식이나 편집적 욕망에 머물지 않고 천하를 읽는 경륜으로 이어지던 지적 토대, 추호의 의심없이 제 생의 전 질량을 바쳐 주인되는 삶을 살았던 옛 사람들의 내면 풍경이 나는 그립다.

 

요즘은 조금만 노력해 보다가 아니다 싶으면 너무나 쉽게 포기해버리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처참한 가난속에서도 신념을 잃지 않고 맹목적인 자기 확신속에서 살았던 이덕무의 미련함이 오히려 그리워 하는 세태가 되어 버렸다.

천재적으로 태어나 충분히 과거 급제를 할수 있는 노긍이었지만 오히려 과거시험답안지를 남에게 주어 급제 시켜주는 , 즉 남 좋은 일만 했던 노긍의 그런 행동은 무엇을 뜻했는지 ,, 모두들 그의 행동을 비웃었지만 이가환만이 그가 죽어 조선은 한 사람을 잃었다고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다.

자신의 천재적인 능력이 세상에서 받아 들여지지 않는 고뇌를 자기 머리를 도끼로 치고, 귀를 송곳으로 찔렀다는 <서문장>은 꼭 자신의 귀를 짜른 <반고흐>를 연상하게 한다. 노력과 성실이 세상이 알아주지 않았지만 그의 그들은 남아 후세에 전하고 있고, 뒤늦게 라도 그들의 행적을 글로 표현해 그들을 기리게 되는 것은 세상의 지표로 그들을 세움에 부끄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세상에서 인연이 녹록하게 작용하지 않을 터인데, 짧은 만남이었지만 그 만남을 맛나게 이루어낸 사람들이 있다. 허균과 기생계량과의 만남이 남녀간의 사랑이 아니라 우정으로 승화될수 있었고, 권필과 제자로 만난 송화섭의 스승에 대한 사랑은 사제간의 사랑이 사라진 지금 표본으로 삼을만 하다. 가족에게 노을치마에 글을 써 보냈던 정약용의 편지속에서 애틋한 사랑을 느낄수 있고, 현실을 바꿔 보기를 갈망해 역모를 꿰했던 허균은 신선의 깨달음을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임을 말해주고 있다.

 

한문으로 이루어진 짧은 산문들이지만 그 속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의 위트와 풍자, 해학을 느끼게 해주고 있다. 그런 멋스러움과 교훈을 혼자만 알고 잇을 수 없었던 정민선생은 이 책을 통해 절망속에서도 성실과 노력으로 자신의 내면세계에서 우뚝 선 노력가들에게 경외감을 같이 느끼고 싶었을 것이다.

사물과 풍경의 아름다움을, 소소한 일상을 일기 형식으로 적어낸 문장속에서 조선 지식인의 내면은 공허하지 않고 풍성하게 오늘날의 우리 내면 세계도 채워 줄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풍성한 내면세계를 내속으로 끌어 오고 싶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