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미술관 산책
최상운 지음 / 북웨이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 가보고 싶어 하는 프랑스 <파리>의 도시를 , 아름다운 미술관을 위주로 서정적인 감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유럽 여러곳을 다녀 온 사람들의 말만 들어도 설레이는 기분을 주체할수 없는데,

가보지는 않았지만 예술의 도시 파리를 직접 눈으로 보는 듯이 설명해주니 더욱 흥분이 된다.

언제 쯤 가볼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상상의 나래를 펴면서

<루브르 미술관><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오르세 미술관><오랑주리 미술관><로댕 미술관><퐁피두 미술관> <유럽사진 미술관><베르사유 미술관> 등에 있는 명화들을 미리 감상해보면 좋을 것 같다.
표지에 나오는 이 허리가 긴 여인은 누구일까?

바로 이슬람 술탄의 후궁들인 오달리스크를 그린 앵그르의 작품 <그랑 오달리스크>이다.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는 인상파가 등장하기 전 고전주의 회화의 거장이다.

터키의 하렘은 이슬람의 왕인 술탄의 애첩들이 살고 있는 공간으로 술탄 이외는 다른 남자들이 근접할수 없다는데

이 그림은 어떻게 그린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파리에는 많은 미술관이 존재 하고 있는데 이중 8곳의 미술관을 특별히 작가가 선정하여 관람하는 가운데

자신의 감상을 차분히 적어 내려가고 있다.

루브르 미술관만 해도 30만점에 해당하는 작품 중에서 작가가 선택하여 설명하고 있는 기준은 잘 모르겠지만

굵직굵직한 화가 위주의 작품인 것만은 확실하다.

 

p. 18 잘 알려져 있다시피 무려 30만점에 달하는 방대한 소장품 들 중에는 프랑스가 제국주의 시대의 주역 노릇을 할때 약소국으로부터 뺏어온 것들도 많다...... 꼭 범죄의 현장에 들르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의 문화 유산 중에서도 많은 문화재를 프랑스에서 약탈해 간것을 우리도 알고 있는데,

아직 되돌려 받지 않은 <직지>등을 생각할때 강대국들의 양심은 어디다 둬 버리는지 참 아이러니 하다는 생각이 든다.

5천년 역사 속에서 약소국으로 살아온 서러움 때문인지 강자의 힘을 한번 느껴보고 싶기도 하다.

이런 감정을 섣부르게 행사하는 것이 <극우파>라는 현상으로

치우쳐진 국가 의식을 가질수 있으니 주의할 필요도 있겠다.

이야기가 좀 옆길로 새 버리긴 했지만, 웅장하고 장엄한 문화재를 가진 나라에 대한 부러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감정을 이책의 작가는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p. 19 예전의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경험이 있는 나라의 국민으로서 느끼는 가슴 깊숙한 곳의 불쾌함에다가 미술관을 오랜 시간 헤매고 다녀야 하는 불편까지 감수하고도 이번만큼은 가보아야 했다.

 

불쾌함과 불편함을 감수하고라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화들을 직접 볼수 잇다는 기대감도 무시하지는 못할 것이다.

루브르 미술관은 이탈리아 화가, 네덜란드 화가, 프랑스 화가 등의 국가별로 분류해 놓고 있다.

르네상스 시대 부터 고전 주의, 낭만 주의, 인상파, 후기 인상파 등의 여러 작품들이 아름답게 전시되어

많은 관광객들을 설레이게 만들고 있다.

 

이 책의 또 하나의 매력은 미술관 내의 작품들만 감상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미술관 주변의 명소들을 소개하고 있다. 루브르 박물관에 오기 전에 보이는 튈르리 공원이나

카루젤 개선문, 팔레 루아얄, 콜레트 광장 등에서 견문을 이야기 해주고 있다.

사진기를 들고 다니면서 눈빛을 반짝이고 다니는 작가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몽소공원을 완보하면서 여러 조각상들을 감상한 작가는 야수파를 창시하는 여러 제자들을 키운

귀스타브 모로의 집을 개조한 미술관을 둘러 본다.

 

옛 위인들이 머물렀던 집안에서 은둔하는 예술가의 분위기를 물씬 느끼게 되기도 한다.

프랑스 상징주의 화가의 대표자인 귀스타브 모로의 그림들은 그림 하나 하나 속에 담긴

커다란 상징속에서 효과를 크게 만들어 내고 있다.

 

중세의 설화와 전설이나 역사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한 모로의 그림속의 장엄함속에 숙연해짐을 느끼고 싶어진다. 

오르세 미술관은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들이 많이 전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미술관의 작품들을 가지고 와서 2011년 상반기에 전시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곳에서 보지 못했던 작품들을 잘 설명해주고 있어 새로움을 느껴진다.

 

보아도 보아도 끝이 없는 작품의 수에 감탄할 따름이다.

 

오르세에서 다 못본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들이 모여있는 숨어 있는 보석과도 같은 미술관이다.

인상파가 빛이 만들어 내는 순간적이고 표피적인 것에 열광 했다면

입체파에게 많은 영향을 준 현대미술의 아버지 세잔의 작품들은 형태와 색채속에서 영속성을 느끼게 해준다.

 

피카소와 모딜리아니, 모네의 수련 작품들을 감상해 볼수 있고

여성 화가인 마리 로랑생의 분홍빛 색채를 감상 해볼수 있다.

 

로댕미술관에서는 로댕과 로댕을 사랑하고 싶어 햇던 카미유클로델의 작품들이

그들의 내면을 표현해 내기라도 하듯 아름답게 전시되어 있다.

 

현대사진역사를 보려면 유럽 사진 미술관을 보러 가야 하겠고,

루이 14세부터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던 루이 16세와 마리 앙트와네트의 역사를 볼수 있는

베르샤유 미술관을 찾아 가야 할것이다.

 

미술관을 둘러 보면서 주요 관광지외에 작가가 나름 사색을 즐기고 차를 마실수 있는

좋은 명소인 카페들을 소개 해주고 있어 색다른 기분으로 다가온다.

 

파리 최초의 <카페 르 프로코프>에서는 볼테르, 루소, 디드로 같은 철학자, 당통, 마라 같은 프랑스 혁명의 주역들, 고티에, 조르주 상드 를 비롯한 작가들의 향취를 느껴보고,

<카페 드 마고>에서는 카뮈,이방인, 사르트르, 부부아르 부부, 앙드레 지드, 헤밍웨이, 피카소등의 흔적을 발견할수 있으며,

 <카페 푸케초>에서는 마를린느 다트리히, 장가뱅, 장 뤽 고다르 같은 영화인들의 열정을 흠뻑 접해볼수 있을 것이다.

 

<자고로 열심히 발품을 파는 것이 좋은 풍경을 보고 멋진 사진을 얻는 길이다. 움직이는 자에게 행운과 기회가 오는 법이다.>

파리 주변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사진으로 닮을 수 있었던 작가의 독백이 느껴진다.

또한 베르사유의 미술관에서 팝아트 전시와 무라카미 다카시의 만화 캐릭터가 전시되고 있는 상황을 보고

<예술과 문화의 힘은 보존과 향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도전과 모험에도 있을 것이다.> 라는 사실을

크게 공감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