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인간은 고독이라는 단어를 안고 살아 가고 있다.

그런데 유독 잔혹한 고독을 느끼면서 살아가야만 했던 부엔디아 종족의 <백년동안의 고독>이

가슴깊숙이 저며옴을 느끼게 만들어 주는 책이다.

 

콜롬비아 출신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1982년 노벨 문학상 수상작>인

<마술적 리얼리즘>이 돋보인다고 평한 이 소설은

참 독특한 전개형식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소설의 전개방식인 기승전결, 내지는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단계를 밟지 않고

부엔디아 집안 6대에 걸친 인물별로 그 전개 방식이 혼합되어 있다.

작품의 결말은 다시 이소설의 시작으로 되돌아 가는 형식으로

마치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뱀처럼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순환구조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
부엔디아는 '좋은 날, 좋은 시대'라는 의미를 가진 말로 마콘도 마을의 창건자에 해당하는

호세 아르카디오 부엔디아를 시작으로 그 집안의 흥망성쇠를 이야기 하고 있다.

집시노인인 멜키아데스라는 사람이 양피지문서에다 이 집안의 내력을 예언하고 있으니

마지막 대에 가서야 그예언을 해독하고 알게 되나 아무소용이 없게 되어 버린다.

 

19세기에서 20초엽까지 문학의 패권을 지고 있던 서유럽과 미국의 중심에서

라틴 아메리카 작가들의 등장으로 세계문학의 중심부가 이행되고 있을 무렵

콜롬비아의 마르케스가 등장하여 1982년 이 책으로 노벨 문학상을 차지하여 명성을 확고하게 된다.

6대에 걸친 부엔디아의 역사를 스토리 텔링의 힘으로 긴 문체를 활용하여

수다스럽게 적어내려가는 형식으로 전개되어 지고 있다.

마술적 리얼리즘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마술이라기 보다는 마법적인 요소가 다분하므로

마법적 리얼리즘이라고 해야 되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이 집안의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앞날을 내다 볼수 있는 <아우렐리아노 대령>부터

죽은 사람들을 볼수 있는 눈을 가진 <우르슬라>등, 몸이 공중으로 떠올라 승천을 해버리는

<미녀 레메디오스>까지. 전설적인 내용들이 다분하게 포함되어 있다.

이 집안의 이름들을 보면 아르카디오와 아우렐리아노라는 두 이름이 명맥을 이어 지어지고 있다.

 

p. 204 아우렐리아노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들은 머리는 좀 좋은 편이지만 성격만은 내성적이었고, 호세 아르카디오라는 이름을 받은 아이들은 충동적이고 모험심을 타고 났으며 어떤 비극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두가지 면모를 지닌 등장인물이 계속 반복되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331 세상은 결국 돌고 돈다는 애기가 맞는 것 같아.

라고 고백하는 주인공의 말처럼 비슷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의 조금씩 다른 삶의 형태를 나타내려고 했던 것 같다.
원시적인 마콘도 마을은 점차 현대문명과 그 제도를 침투를 받으면서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산업혁명으로 부유해진 유럽 제국주의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침략하면서 잉카, 마야 문명들이 사라졌듯이

현대문명의 침투로 마콘도 마을의 문명은 서서히 쇠락으로 떨어져 가게 된다.

 

보통 한나라의 역사가 그렇듯이 보수파와 자유파의 전쟁, 혁명, 노동쟁의 , 시위등의 격렬한 세태를 겪듯이

이 마콘도 마을도 이런 질곡을 벗어 날수 없었고,

그 중심에 아우렐리아노 대령과 그의 조카 아르카디오와 그의 아들 아우렐리아노 호세가 있었다.

서구 자본주의가 콜롬비아에 진출하여 미국의 바나나 회사를 운영했던 역사를 토대로

마콘도 마을에도 바나나 농장이 생겨 그 노무자들이 대규모의 시위가 벌어지게 된다.

하지만 대학살로 이어져 3000명의 희생자가 나게 되고 희생자들을 기차에 실어 바다에 버려

그 진상을 은폐하고 호도하는 왜곡된 역사를 정부측에서는 만들어 버린다.

그런 왜곡된 역사 의식을 마르케스는 고발 하고자는 고발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기도 하다.

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금기 사항인 근친상간으로 인한 도덕적 타락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122세까지 살면서 부엔디아 집안을 활동적으로 돌본 우르슬라의 노고가 헛되어 버리는 결과가 나타난다.

결국 예언대로 <돼지꼬리 달린 아이>가 근친상간에 의해 태어나면서 이 집안은 멸망의 길에 들어서고 만다.

 

이 집안 남자들의 성향으로 모험심과 탐구 정신의 대변자로 <호세 아르카디아 부엔디아>와 <아우렐리아노 대령>을 들수 있겠지만

그들을 통틀어 가장 유식하고 지혜로운 자로 거듭나는 <아우렐리아노>로 귀결된다.

하나 결국 자신의 출생에 대해 무지 했던 <아우렐리아노>는 자신의 이모인 <아마란타 우르슬라>와 사랑에 빠지는 무지를

저지르고 결국 멜키아데스의 예언대로 이 집안은 영원히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사라져 버린다.

 

p. 460 그것은 이 거울의 도시, 아니 신기루의 도시, 바람에 날려 없어질 터이며, 아우렐리아노 부엔디아가 이원고를 해독하게 되는 순간부터 마콘도는 인간의 기억에서 영원히 사라질 것이며, 여기에 적힌 글들은 영원히 어느때에도 다시 되풀이 될수 없을 것이니, 그것은 100년동안의 고독에 시달린 종족은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날 수 없다고 적혀 있었기 때문이다.



 

 

유달리 본능적으로 고독속에 살아가는 것을 운명으로 알았던 이들의 삶은

구석진 방속에 틀어 박혀 책을 탐구하거나, 은세공 기술을 연마하거나, 황금 물고기를 만들거나,

결혼도 하지 않고 자신의 수의를 짓던 아마란타나,

양피지 문서를 해독하던 일들이었다.

이런 고독속에서 그들이 발견할수 있었던 것은

인간내면의 본성인 질투, 잔혹, 냉정등이었을까?

 

하여간 이러한 고독에 시달린 종족은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멜키아데스의 예언을 믿어 보기로 하자.

100여 년 동안 진정한 활동력과 생명력을 보여준 <우르슬라>의 열정으로 고독이라는 감정을

물리쳐 보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