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의 수용소에서>라는 의미에서 풍겨나오는 이미지는

반전, 평화를 주제로 하는 책일 것이라는 착각에 빠지게 한다.

물론 나에게는 그런 의미로 다가왔었다.

완독후 그런 정치, 전쟁의 주제와는 전혀 상관없는 심리학이라는 주제가 새롭게 다가오게 된다.

물질문명과 컴퓨터 산업의 발달,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 등으로

우리 현대인에게 다가오는 삶에 대한 의미는 크게 상쇄되어 다가오고 있다.

그러한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를 불어 넣고자

빅터 프랭클 박사는 자신의 적나라한 실존을 보여주면서

현대 정신학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성적인 불만에 의해 모든 정신병의 시초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반기를 든 빅터 프랭클은 현대 정신병의 대부분이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의 좌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대 정신의학과 범죄심리의 집단 신경증후군으로 대표되는 세가지.

우울증, 공경성, 약물중독은 실존적 좌절과 실존적 공허 속에 살아가는 허무주의자들이 나타내는

대표적 증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한 돌파구로

<비극속에서의 낙관>이라는 의미를 부각시켜

<고통과 죄와 죽음 의 비극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계속 낙관적일 것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비극속에서의 낙관의 대표적인 예가

죽음의 수용소에서 겪은 인간이하의 생활을 두고

그곳 수감자와 자신이 느꼈던 정신적이면서 내면적인 심리 변화를 두고

희망을 찾고자 하고 있다.
3년동안 <아우슈비츠>와 <다카오>의 수용소에서

빅터 프랭클은 자신이 정신과 의사임에도

가장 적나라하고 벌거벗어진 인간의 실존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언제 가스실로 보내질지 몰라 면도를 항상하고 항상 똑바로 걸으라는 친구의 조언에 따라

생존을 위한 철저한 투쟁에 들어가게 된다.

그런 환경속에서 그가 느낀 것은 운명에의 초월이 자신을 생존하게 만들었고,

자기를 초월함으로써 가스실로 가게 되는 상황을 벗어나게 되어

결국 살아날수 있었던 경험을 생생한 육성으로 전하고자 하고 있다.

 

p.9 "성공을 목표로 삼지 말라. 성공을 목표로 삼고, 그것을 표적으로 하면 할수록 그것으로부터 더욱 더 멀어질 뿐이다.

 성공은 행복과 마찬가지로 찾을수 있는 것이 아니라 찾아오는 것이다."

 

성공이나 행복을 목표로 삼지 말고 삶의 의미를 찾아 의지대로 살아갈때 성공과 행복은 부수적으로 따라오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실현을 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지만

결국 자기 실현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고, <자기초월>, 즉 자기 자신을 망각할때

<자기실현>의 단계가 올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로고는 의미라는 뜻으로 삶에 대한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를 마련해주고자 했던

정신치료방법의 하나로 <로고테라피>를 내세우고 있다.

"왜 살아야 하는지를 아는 사람은 그 어떤 상황도 견뎌낼수 있다.

라는 니체의 말처럼 죽음의 수용서라는 극한 상황에서도 자신이 살아야 하는 이유와 의미를 찾아내고,

자신이 아니면 어느누구도 이세상에서 대신할수 없다는 신념을 가진자만이

결국 살아남아 고향으로 돌아 갈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p. 19 산다는 것은 곧 시련을 감내하는 것이며, 살아 남기 위해서는 그 시련속에서 어떤 의미를 찾아야 하는 것이다.

 

모든 예술가들의 작품에서도 볼수 있듯이 그들의 창작물은 시련을 감내한 결과물이었으며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고통과 시련의 연속이며, 외로움과 고독과의 싸움이라는 사실은

만고불변의 진리인셈이다.

 

저 유명한 도스도예프스키도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 내가 세상에서 한가지 두려워 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내 고통이 가치 없는 것이 되는 것이다."

 

무수한 명작을 글로 써낸 작가 도스도예프스키도

고통없이는 인생의 삶이 완전해 질수 없음을 알고 있었고,

그로 인해 자신의 고통이 가치가 없어지는 것을 가장 두려워 하고 있었다.

 

아우슈비츠에서의 혹독한 체험을 견뎌내는 이유는

오로지 미래에 대한 목표의식과 삶의 의미, 자신의 실존적 가치를 알아

그것들을 위해 현재의 시련을 충분히 이겨낼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수용소에서 가장 심한 육체적, 심리적 억압에 시달리고 있을때라도

내면의식과 영혼 영혼을 파헤치고 그 영혼의 깊이를 적나라하게 드러나도록 만들어 버리지만

간절한 구원에 대한 기도로 영혼의 깊이는 더욱 심오해 질수 있다는 사실도 간과하지 않고 있다.

 

이런 모든 일련의 경험으로 내세운 로고테라피에서는

삶의 의미를 찾게 해주고, 그 삶에 의미에 환자자신에게 책임감을 심어넣어 주며

미래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넣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의 주체는 환자 자신일뿐

로고테라피 치료사는 환자의 시야를 넓혀 주는 입장에서 치료를 할 뿐이다.

 

자신의 시야와 눈으로 사물을 보게 만드는 화가의 입장이 아니라

잘 보이지 않는 시야를 확장시켜주는 안과의사로서의 역할을 해 냄으로써

환자자신의 역할을 더욱 부각시켜주고 있는 치료법인 것이다.

 

장애인아들과 건강한 아들을 키우고 있던 어머니가

건강한 아들의 죽음으로 살아가야 할 의미를 잃었을때

자식을 두지 않고 성공한 80대의 인생이라고 가정시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해보라고 주문한다.

그 어머니는 아무리 성공한 삶일지라도 자식이 없는 삶의 무의미 함을 깨닫고

자신에게 삶의 의미를 장애인 아들을 건강하게 키워내는 것이라는

책임감을 불어 넣어 줌으로써 우울증에 걸린 어머니를 치료해내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지는 것이다.

 

여러 정신과적인 치료를 할때에

<마음속의 두려움이 정말로 두려워 하는 일을 생기게 하고, 지나친 주의 집중이 오히려 원하는 일을 불가능하게 만들>므로

자기 자신을 분리할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인 능력을 활용하는 역설의도를 이용한다.

 

팔의 경련으로 글씨를 잘 써야 된다는 지나친 주의 집중에서 벗어나

가장 휘갈겨 쓴 글씨를 남들에게 보여주라는 조언으로

역설적인 의도를 시도할때에 비로소

팔의 경련에서 벗어날수 있었다는 예로 들고 있다.

 

단순한 이치 같지만 우리는 이러한 진리를 잊어 버리고 살기 쉽다.

이런 우리들에게 항상 이런 말로 우리를 깨어 있게 만들고 싶어한다.

 

p. 237 " 두번 인생을 사는 것처럼 살아라

그리고 당신이 지금 막 하려고 하는 행동이 첫번째 인생에서 그릇되게 했던 바로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