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4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번은 중요하지 않다. 한 번이면 그것으로 영원히 끝이다. 유럽 역사와 마찬가지로 보헤미아 역사도 두 번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보헤미아 역사와 유럽 역사는 인류의 치명적 체험 부재가 그려 낸 두 밑그림이다. 역사란 개인의 삶만큼이나 가벼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가벼운, 깃털처럼 가벼운, 바람에 날리는 먼지처럼 가벼운, 내일이면 사라질 그 무엇처럼 가벼운 것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中에서

 

 

 

니체는 말했다. 우리는 영원한 회귀를 통해 우리가 겪었던, 우리가 겪은, 우리가 앞으로 겪을 일들이 어느날 그대로 반복될 것이고 이 반복 또한 무한히 반복될 것이라고. 다시 말하자면, 인생이란 한번 사라지면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한낱 그림자 같은 것이고, 그래서 산다는 것에는 아무런 무게도 없고 우리는 처음부터 죽은 것과 다름없어서, 삶이 아무리 잔혹하고 아름답고 혹은 찬란하다 할지라도 그 잔혹함과 아름다움과 찬란함조차도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그 속에서 우리는 존재에 대한 아주 무거운 짐을 지게 된다. 이러한 영원한 회귀가 가장 무거운 짐이라면, 이를 배경으로 거느리는 우리의 삶은 찬란한 가벼움 속에서 그 자태를 드러낸다.

 

그렇게 찬란한 가벼움 속에서 밀란쿤데라의 작품「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시작된다. 소설은 육체적인 사랑과 정신적인 사랑(그의 표현에 의하면 같이 잠을 자는 사랑)을 구분하는 주인공 토마시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토마시와의 만남을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그의 연인 테레자는 고향을 떠나 그의 집에 머문다. 진지한 사랑을 부담스러워하는 토마시는 끊임없이 다른 여자들을 만나고, 질투와 미움이 뒤섞인 두 사람의 삶은 점차 그 무게를 더해간다. 한편 토마시의 연인 사비나는 끈질기게 자신을 따라다니는 조국과 역사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고 싶어 하며, 안정된 일상을 누리던 프란츠는 그런 사비나의 ‘가벼움’에 매료된다.

 

1968년 프라하의 봄, 역사의 상처를 짊어지고 살아가는 네 남녀의 사랑은, 오늘날 ‘참을 수 없는’ 생의 무거움과 가벼움을 오가는 우리들의 자화상과 다름없다. 존재의 무거움이 아닌 가벼움으로부터 오는 두려움. 그리고 서로의 존재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시작하는 사랑. 조금은 어렵지만 날카로운 시선과 작가의 섬세한 표현력이 만나 한 편의 따뜻한 철학서와 같은 소설이었다. 세상에 대한 작가의 관찰이 이리도 돋보이는 작품이 있을까. 정체성을 찾기 위해 흔들리는 가치관 그들의 갈등과 소통의 부재. 누군가는 가벼움에 매혹되고, 누군가는 가벼움에 희생되며 모두들 참을 수 없는 그들만의 가벼움에 허덕이고 만다.

 

사랑과 성, 역사와 이데올로기의 소용돌이 속에서 끝없이 갈등과 반목을 거듭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존재가 참을 수 없이 가벼운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다. 사람들은 흔히 말한다. 우리는 인생이란 뗄 수 없는 무거운 짐을 계속해서 짊어 나가야하는 존재라고. 그리고 그 무거운 짐이 우리를 짓누르고 허리를 휘게 만드는 것이라고. 그러나 과연 그런 무거움만이 진정으로 끔찍하고 반대로 가벼움은 아름다운 것일까? 인간 존재는 너무나 가볍다. 정말로 너무나도 참을 수 없이 가벼운 존재라서 이 존재 자체를 견뎌내는 것이 우리에게는 너무나 고통스럽고 버거운 일이다. 그들이 참아내지 못한 그 가벼움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