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저는 독서할때에는 주로 잔잔한 음악을 틀고 하는 편입니다.
이런 음악들은 기분을 가볍게 만들어주고 문장들이 눈에 잘들어오게 만들어 주죠.

 

이책 뮤지코 필리아의 겉표지를보면 붉으스레한 혈색의 올리버 색스 박사가 해드폰을 끼고 눈을 감고 음악에 심취한 사진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웃음기를 머금은 임은 노래를 부르듯 벌어져 있고 붉은 옷차림인지라 사타클로스가 연상되어 '징글벨' 이라도 부르는 듯한 모습이죠.
사진으로 나마 음악은 즐기는 것이다-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는지도 모릅니다.
이 책은 뇌와 음악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그 사례를 모아놓은 책입니다.
음악하면 사람들은 즐거운 것이다 라고 보편적으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몇년간 모릿속에서 끊이지 않고 울려퍼져 고문이 되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굳어가는 운동신경을 부활시키고, 뇌를 활성화 시켜주는 고마운 존재가 되기도 하며, 또 어떤 사람들에게는 살아가는데에 절대적인 존재로 자리잡기도 합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좋던 싫던간에 음악에 휩싸여 있습니다.
거리를 걸을때에도...
백화점이나, 상점에 가도, 심지어 병원에 가도 음악이 흘러 나옵니다.
이렇듯 과도한 소리의 홍수에 휩싸여 있으면서도 자신만의 음악이 필요해 MP3나 핸드폰에 이어폰을 연결해 음악을 끊임 없이 듣죠.
이런 행위가 자신의 유모세포(달팽이관에 있는 소리를 감지하는 세포)를 파괴하고 청력상실을 불러 일으키는데도 말입니다.
더군다나 이런 행위는 끊임없는 자극으로 우리의 뇌를 혹사하고 있는것은 아닐까요?
이런반면 음악은 환자들에게 재활의 자극이 되는것도 사실입니다.
음악 요법으로 파키슨병이나 투렛증후군 환자들에게 일상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자극이 되어주고 있는것입니다.
음악은 이처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고 도움이 되기도 하죠.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우리나라의 역사책 '부도지'에 우주는 수(數)와 음악(音樂)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되어있던 구절이 떠올랐습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선조들은 음악을 중요하게 여겼죠.
그만큼 우리에게 음악은 선천적으로 새겨진 본능같은게 아닐지...
저 역시 어느순간 번개에 맞은듯 마음에 꽃히는 노래를 들을때가 있기에 이 책을 읽으며신기해 하기에 앞서 이해할 수 있더군요.
음악을 좋아하고 사람과의 상관관계에 흥미가 있으시다면 ...그렇지 않더라도 한번 읽어 보시라고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