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이렇게 바뀐다 - 제3회 박지리문학상 수상작
단요 지음 / 사계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는 이렇게 바뀐다는 상당히 재미있고 상상력이 많이 들어간 작품이고 현실에 걸맞는 것 같다.


책에서는 어쩌면 멀지 않은 미래, 어쩌면 내일 사람들의 머리 위에 수레바퀴가 생긴다.


만질 수도 없고 과학으로도 검증할 수 없는 원판은 정수리 위에 떠올라 있으며, 정의를 상징하는 청색과 부덕을 상징하는 적색 영역으로 나뉜다.


사람들은 청색의 비중을 높이려고 선을 베풀고 정의롭게 살려고 애쓴다.


바퀴 혁명, 현대 문명은 바퀴의 등장으로 급성장한다.


책에서는 갑자기 생겨난 수레바퀴로 인해 두 번째 바퀴 혁명을 맞이한다.


수레바퀴가 등장하자 난민을 수용하고 자본주의는 비판받는다. 


행동을 데이터화해서 분석하는 앱이 나오고 당연히 음모론이 싹튼다. 


종교인, 정치인, 연예인이 청색 비중 때문에 몸살을 겪기도 한다. 여러 전문가들이 각각의 의견을 내지만 말 그대로 제각각의 의견일 뿐이다.


억지로 하는 행동이 지구를 살리고, 함께 잘 사는 데 힘쓴다면 그것도 괜찮다. 


개개인에게는 지옥행을 피하려는 몸부림일지라도, 그 총합은 합당한 분배와 정의의 형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묘한 점은, 천국에 줄 선 사람들이 딱히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행동은 다양하고 다중적인 면이 있다. 


좋은 마음으로 한 행동이 최악의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고 아무 생각없이 또는 나쁜 마음으로 한 행동이 영웅을 만들 수도 있다. 


한 사람이 아닌 한 집단은 여러 이해관계와 돌발적인 요소가 끼어들어 옳고 그름을 선택하여 행동하기 힘들다. 


다양한 선택지 속에서 선택을 하더라도 누구는 피해를 보고 누구는 이득을 점유한다.


과연 수레바퀴속에서 인간은 철학적, 윤리적, 도덕적인 면에서 정의로운 것들이 과연 존재할 것인이 의문이 든다.


책에서 수레바퀴는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인간의 보여주기식 같은 이중성 같은 잣대를 보여주기도 한다.


상당히 책에 상상력과 인간의 심리적인 행동과 다양한 양식이 잘 저술되어 있어서 상당히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이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