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함락 1945 걸작 논픽션 26
앤터니 비버 지음, 이두영 옮김, 권성욱 감수 / 글항아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학자 앤소니 비버의 베를린 함락 1945의 발매되었다. 1945년 베를린 전투를 다룬 책이다.


 베를린 전투는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구의 사실상의 최후의 전투다. 


이 전투는 후술하다시피 큰 의미를 많이 갖고 있다. 


그럼에도 그 동안 우리 출판계에서는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기에 필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이 책을 오랫동안 기다려왔다.


이 전투는 여러 모로 매우 중요하다. 


4년 동안 벌어진, 아마도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싸움일 독소 전쟁의 사실상 최후의 전투다. 


나치 독일의 수도를 놓고 독일군과 소련군이 온 힘을 기울여 벌인 최후 공방전이다. 


나치 독일은 물론 그 국가 원수 아돌프 히틀러의 숨통을 끊은 전투다. 


세계를 상대로 독일이 벌였던 침략 전쟁이, 부메랑으로 돌아와 마침내 그 출발점에서 종결되었다는 데서 오는 극적이자 상징적인 의미 또한 크다.


전투는 전략 전술적인 부분에서도 반추해볼 부분이 많다. 


당시 소련이 다시 유럽의 강국 독일에게 침공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독일을 패배시켜 굴복시키는 것은 물론, 독일을 위시한 자본주의 서구 세력으로부터 자국을 방어할 완충 지대도 필요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독일일부라도 확보하고, 독일은 물론 독일-소련 국경 사이의 동유럽 국가들을 모두 소련의 위성 국가, 즉 완충 지대로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독일을 얻으려면 독일의 수도인 베를린을 반드시 함락시켜야 했다. 


또한 베를린을 얻음으로서 독일의 핵기술을 확보, 소련 핵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엄청난 매력이었다.


물론 다른 연합국, 특히 영국도 베를린 공략전에 나서려 했다. 


하지만 베를린은 독일의 수도다. 그 곳의 방어태세가 부실할 리 없다. 


누가 베를린에 쳐들어가건 엄청난 인명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때문에 서방 연합국의 리더 노릇을 하고 있던 미국은 이 위험한 임무를 소련에 맡기고, 이로 인해 절약되는 전력을 향후 자국이 주도하는 대일전에 투자하고자 했다. 


미국이 핵무기 없이 재래식 전력만으로 일본 본토 상륙전에 임했을 경우, 제2차 세계대전은 1947년이 되어서도 끝날까 말까했던 게 당시의 계산이었으니 말이다.


소련군은 인명 경시적인 전술을 구사해 엄청난 전사상자를 발생시켰다. 


불과 2주간 진행된 베를린 전투에서 소련군은 비록 승리하기는 했으나 전사 및 실종 8만 명, 부상 28만 명에 달하는 엄청난 인명 손실을 입었다. 


무려 3개월간 진행된 오키나와 전투에서 미군의 전사자가 12,000명밖에 안 되었던 것에 비하면 실로 기록적이다. 


그 정도의 인명 손실을 접한 미국이 일본 본토 상륙전을 포기하고 핵폭탄 투하로 정책을 변경한 것까지 감안하면 정말 엄청난 숫자다. 


베를린 전투 60주년이 가까워 오는 시점에도 사실적인 묘사를 위해 수많은 사람들과 자료를 만나 엄청난 저자의 노력에 감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대한 사실적 묘사는 전반적으로는 없는 것보다는 백배 나은 책이다. 


무엇보다도 현 시점에서 베를린 전투를 제대로 다룬 한글 서적은 이거 하나 뿐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같은 소재의 독일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책에서 부족했던 시각적인 자극은 영화나 다른 미디어로 충족시키면 이 책을 이해하는데 더욱더 도움이 되고 유익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