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제전 - 세계대전과 현대의 탄생 걸작 논픽션 23
모드리스 엑스타인스 지음, 최파일 옮김 / 글항아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가 1913년에 발표한 발레곡의 제목을 책의 제목으로 한 것부터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책의 1막이 바로 ‘봄의 제전’ 초연을 한 1913년 5월 29일, 그 날부터 시작한다.. 충격과 공포, 놀라움. 관객들은 도입부 첫 마디부터 항의를 시작한다. 관습에 반한 동작에 야유와 고성이 오가며 아수라장이 된다. 모독이라 생각한 관객들만 있었던 것은 아니며 공연을 옹호한 관객들도 상당수 있었던 것 같다. 욕설이 오가고 주먹이 오가고. 더 이상 발레 공연장이 아니라 흥분과 격노가 오가는 싸움터가 되어가며 발레리나들은 음악을 듣지 못해 니진스키가 박자를 알려주었다고도 전해진다.

 

객석의 소란과 춤을 추는 무용수가 보여지며 이것이야말로 현대 (Modern)이라는 듯이 그 날의 소동을 벌어졌으며 상당히 현실이 악화된 것이 느껴진다.

 

포드가 자신을 현대의 발명자라 자칭했다지만 저자는 이 사건을 현대성의 증명이라 생각하는 것 같다. 그리고 1차 대전과 2차 대전, 나치 독일의 패망까지 이 책은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예술과 전쟁, 그리고 현대성이라는 명제를 날줄과 씨줄 삼아 이야기를 이어간다. 


전쟁은 분명 불행한 일이지만 1차 대전은 어떤 의미에서의 충격을 당대인들에게 주었고, 그 충격은 현대적 의식을 탄생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며, 이 책을 매우 흥미롭게 읽게 만드는 원동력된다.. 


전쟁을 정치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렇기에 전쟁사를 살펴볼 때 당시의 정치사와 전투에 집중하는 것이 보편적인 것들이 나온다. 하지만 이 책은 현대성이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예술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통해 전쟁사를 풀어내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정치인과 장군이 아닌 전쟁터에서 스러져간 이름 모를 병사들에 집중다. 

 

매우 독특한 관점의 전쟁사 책으로 오랫동안 기억에 남아 있는 구절이 상당히 많으며 다양한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이 책의 다양한 구절 중에서 이것이 기억에 남는다.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라일락 꽃을 

죽은 땅에서 피우며, 추억과

소망을 뒤섞고, 봄비로

활기 없는 뿌리를 일깨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