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도생 사회 - 어설픈 책임 대신 내 행복 채우는 저성장 시대의 대표 생존 키워드
전영수 지음 / 블랙피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자 살길을 스스로 도모한다'라는 의미를 가진 '각자도생(各自圖生)'이란 말에 끌려 읽기 시작한 <각자도생 사회>. 이 책의 저자인 전영수 교수는 '각자도생'은 한국 사회의 '실존형 생존 키워드'로 부상했다고 강조했다. 100세 시대라고 하지만 삼팔선, 사오정, 오륙도처럼 직장인들의 은퇴 시기가 빨라졌음을 표현하는 말들이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됐다.




2019년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그 해의 사자성어에 '각자도생'이 1위에 올랐다. 전교수는 싫든 좋든 살아내자면 누군가를 의존하기보다는 자립할 수밖에 없는 시대가 됐기 때문에 각자도생이 필요한 시대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가 2026년이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이란 예측이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늘어난 기대수명과 달리 가난한 노년을 보내게 될 계층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각자도생이 필수 요소가 됐다는 것이다.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 중에서 20%를 넘는 사회를 '초고령 사회'라고 부른다. 노인층이 많아진다는 건 부양해야 할 세대가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노인인구의 증가는 생산능력을 가진 젊은 층이 노인층 부양을 위한 의무와 책임은 커지는 한편 복지비 부담이라는 현실적인 비용 문제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전 교수는 각자도생이 출현하게 된 것은 잠재성장률 2% 대가 고작인 저성장이 고착화됐고, 고위험 시대로 변화했기 때문에 미혼 청춘들이 미래 소득을 당겨와 부양할 가족을 구성한다는 위험을 현실화할 근거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갈수록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그 범위는 더욱 넓어지고 있는 추세여서 한국 사회가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중한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쟁터 같은 일터로 향하지만 불확실한 미래에는 가족 구성도 더 이상 견고한 울타리 역할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 힘들게 취업에 성공해도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 사회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자' 시작해 '도생'을 꿈꾸는 것은 스스로 본인을 챙겨 불행의 불씨로부터 삶을 지켜내자는 전략에서 비롯됐다.





*** 중략




보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 참조 바람




* 출처 : https://blog.naver.com/twinkaka/221919872181



열심히 살아도 가난해져만 가는 시대, 이제 스스로를 위한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