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긱 이코노미 - 정규직의 종말, 자기고용의 10가지 원칙
다이앤 멀케이 지음, 이지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긱 이코노미(Gig Economy), 그때 그때 필요할 때마다 단기 계약직, 임시직, 프리랜서 등을 섭외해 일을 맡기는 경제 형태. 긱 이코노미에서 근로자들은 회사나 고용주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혼자 일한다.
처음 이 이야기를 읽기 시작했을때, 이 "긱 이코노미"라는 것이 이해하기가 좀 어려웠다. 왜냐하면 나는 그야말로 프리랜서로 일하는 강사이기 때문이다. 나에게는 그다지 생소하지 않은 그런 이야기 때문인지 초반에는 새로운 형태라는 이 "긱 이코노미"라는 것이 이해하긴 힘들었지만 아무래도 단기 계약직, 임시직이라는 부분까지 확대하고나면 오히려 앞으로의 경제형태가 이를 선호하게 될것이라는 것을 믿어의심치 않는다.
현재 우리나라는 최대의 혼란을 겪고 있다.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외쳐대는 대권주자들을 허울만 좋은 이상만을 늘어놓고 본질적인 것을 놓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비정규직이라는 일자리가 있는 우리는 이미 긱경제로 들어서지 않았나 싶다. 이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듯하다. 하지만 우리에게 이 비정규직이라는 일자리가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아마도 회사나 고용주의 그릇된 시선때문이 아닐까 싶다. 예전만큼이나 안정된 직장은 이제는 없는것 같다. 수명은 날로 길어지는데 정년은 점차 짧아지고, 정규직이라는 의미는 날로 더 설자리를 잃어갈것인데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프리랜서만큼이나 비정규직은 임금이나 처우에 대해서는 아직 미흡하다. 그래서 우리에겐 "긱 이코노미"가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더 성숙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책에서는 긱 이코노미에서 성공하기 위한 "자기고용의 10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있다. 나만의 성공을 정의하라, 다각화하라, 나만의 보장 방법을 만들어라, 네트워크를 확보하라, 위험을 낮춰 두려움에 맞서라, 일 사이에 휴식을 가져라, 시간 관리를 잘하라, 재정적으로 유연해져라,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권을 생각하라, 은퇴에 대비하되 한 가지 계획에 의존하지 마라. 프리랜서로 일하는 나로서는 격하게 동의한다. 휴식은 눈치안보고 가질수 있으나, 안정적이지 않다 보니, 고용의 기회를 얻기 위해 자신의 경쟁력을 키워야한다. 긱 경제가 활성화 될수록 노동시장이 직업 중심에서 일중심으로 바뀌게 될것이다. 그리고 숙련된 노동자의 '좋은 직업'을 '더 가치 있는 일'로 바꿔줄 것이다.
그런데, 긱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가 좀 더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사회에 첫출발하면서 빚쟁이가 되고, 대출을 갚기 위해 허덕이며 철밥그릇이라는 공무원에만 목을 메는 사회. 이럴때 좀 더 아쉬운것이 우리나라의 올바른 정치가가 없다는 것이 아닐까.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성장해 나가는데, 그에 비해 정치인들의 안하무인은 늘어만 가는 것 같아 아쉽다.
더 이상 안정된 일자리는 없다. 긱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가져야 할것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치인들부터 사고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본다. 바뀔 세상을 대비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수 있도록 도움이 될수 있는 책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