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에서 건진 별미들 - 세계의 전쟁이 만들어낸 소울푸드와 정크푸드
윤덕노 지음 / 더난출판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전쟁이라는 가혹한 운명 앞에서 보통 사람들이 만들어낸 최고의 음식"


우리가 지금은 흔희들 먹는 음식들에 숨겨진 이야기들, 그래서 아마도 더 궁금했다. 자고로 사람들에게 의식주가 매우 중요했는데, 아무래도 그중에서 으뜸이 "식"이 아닐까 싶다. 우선 배가 든든해야 만사가 느긋해지면서 여유라는 것이 생기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읽다가 "전쟁사에서 건진 별미들"이라는 제목을 잠시 잊고 왜 그렇게 전쟁에서 유래된 음식들이 많은것인가라는 의문을 품기도 했다. 그야말로 제목까지도 잊을정도로 이 이야기에 폭 빠졌던 듯 싶다. 같은 맥락일지는 모르겠지만 나라가 어려울수록 사람들이 더 뭉치고, 어려울수록 이웃돕기 성금이 더 많이 걷히는 것처럼 전쟁이라는 고통과 난관 속에서 그것을 딛고 일어서는 노력이 우리의 먹거리를 다양하게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무심결에 먹었던 그 음식 하나하나 아픈 전쟁의 역사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된 참 재밌고도 고마운 책이 아닌가 싶다.


게다가 이 책에 소개되는 음식들은 생소하다기 보다 우리 주변에 그리고 늘상 접하는 음식들이라 낯설지 않다. 나는 초밥을 좋아한다. 누가 좋아하는 음식이 뭐냐구 물어보면 대뜸 "초밥"이라고 답한다. 그런거 보면 좋아하는 건 맞는건 같긴 한데..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이제야 알게 되었다. 회전초밥집에 가게 되면 작은 접시위에 같은 초밥이 두개씩 올려져 레일을 따라 움직인다. 상상만 해도 군침이 절로 돈다. 하지만 그거은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 패배한 결과라고 한다. 많은 식민지에서 쌀을 수탈해가던 일본은 패망하고 나서 그 수급처가 끊겼고, 게다가 패잔병과 해외 거주민이 한꺼번에 돌아와서 쌀공급이 절반으로 줄면서 쌀값이 130배가 뛰었다고 한다. 인간적인 면서에서는 그 상황이 좀 안됬지만, 내가 한국인이다 보니 약간은 니들이 자처한것이라나는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하여간, 이 상황을 극복하고자 일본은 음식점의 영업을 금지시켰고, 외식도 금지시켰다. 하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다 보니 1인당 쌀 한홉을 가져오면 초밥 10개까지만 교환할수 있도록 완화를 시켰다고 한다. 게다가 생선의 어획량도 줄어들자 같은 종류의 생선으로 초밥 두개씩을 만들어 한접시에 담았고, 1인분에 약 10개의 초밥이 나오는 관습이 생겨냐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톡쏘는 고추냉이는 아무래도 냉장시설이 뛰어나지 않았던 그 무렵 식중독을 방지하기 위한것이라고 한다. 무심결에 먹었던 이 음식에 패전으로 식량난의 고통을 겪던 시절의 흔적을 엿볼수 있는 것이다.


참 이것을 보면 사람은 참 대단하다. 아니, 사람뿐만이 아니라 모든 생명을 가진 것들을 대단하다.목숨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그에 굴복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는 노력이 만들어낸 세상의 변화를 이 책은 음식을 통해서 살펴볼수가 있었다. 우연찮게도 이 책을 읽는 이 시점 우리나라는 참 어수선해지는 상황이 빠져버렸다. 헌정사상 최대의 위기가 아닐까. 비록을 전쟁을 통해서 위기를 초래한건 아니지만 과거의 사람들이 그랬던것처럼 우리도 이 어려운 상황을 지혜롭게 이겨나가길 하는 바람도 같이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