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툴레인의 신기한 여행 하트우드
케이트 디카밀로 지음, 김경미 옮김, 배그램 이바툴린 그림 / 비룡소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에서 온 그대" 덕분에 빌리기도 매우 힘든 책이 되어 버렸다. 한참을 기다려서 예약을 하고(항상 예약수 초과)였다. 한참을 기다려서 순번이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가 멀리 떨어져 있는 도서관까지 가서 찾아온 책이다. 예약하는 책은 상호대차가 되지 않기때문에 직접 그 도서관까지 가야한다. 나의 번거로움에 보답을 해줄수 있었던 책이었음 꽤나 고마웠을텐데... 나는 드라마를 보지 않아서인지.. 그닥 왜 기다려서 봤는지 하는 의문이 생겼다. 글쎄.. 우리딸이 어렸을때 빌렸다면.. 더 재미있게 읽었을라나.. 모르겠지만.. 드라마의 PPL로 사용되어야만 베스트셀러가 되는 현실이 조금은 씁쓸하기만 하다. 드라마에 출현하지 못해도 재밌는 책들이 많은데 말이다.

 

에드워드 툴레인은 도자기로 주문제작한 특별한 토끼인형이다. 애빌린 툴레인의 아주 특별한 인형.. 금빛 회중시계도 있고, 모자도 있고, 비단으로 만든 아주 좋은 옷들이 많은.. 그야말로 어려운것 하나 모르는 그런 인형이다. 그래서 조금은 거만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에드워드가 여행길에 작은 사고로 애빌린과 헤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자신을 그저 인형이라고만 부르는 것에 대한 자존심이 상해하던 에드워드는 차츰 자신을 돌보기도 힘든 사람들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사랑을 배워나간다.

 

드라마에서는 어떤 의도로 이 책을 사용했는지는 모르겠지만..에드워드 툴레인은 나의 딸이 아니었나 싶다. 하나밖에 없는 아이이고, 어렸을적 할머니에게 맡기고 일을 나가 잘 놀아주지도 책을 읽어주지도 못했던 미안함에 너무나도 감싸기만 한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해봤다. 중학교 3학년이 되서야 혼자서 라면을 끓일수 있게 되서.. 그래서, 교과 선생님께, "너는 공주니?"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는 딸..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 선생님이 조금은 성급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딸의 사정을 조금만 알았더라면(앞에서 언급했던 그런 상황말고) 함부로 우리 아이에게 그런 말을 하지는 않았을테니까 말이다. 허나, 조금은 어른들의 탓도 있다고 생각한다. 갑자기 힘겨웠던 시간들을 보내게 된 에드워드와는 달리 나는 딸아이가 조금씩 세상에 맞서 헤쳐나갈수 있는 힘을 기르길 바라기도 한다.

 

잠시 옛생각이 났다. 딸아이에게 인형이 무던히도 많았었는데.. 어느 바자회 모임에 딸아이와 의논도 하지 않고 기부를 한적이 있었다. 그 사실을 뒤늦게 알고서 딸아이가 인형의 이름들을 부르며 어찌나 서럽게 울던지.. 인형 하나하나에 그리고 기르던 햄스터에게도 이름을 붙이는 딸아이를 보면서 어렸을적 내 모습을 떠올렸다. 잠시 나의 어린시절을 망각하고 딸아이의 의견도 묻지 않고 혼자서 착한척은 다 해놨으니.. 아직도 가끔 우리딸은 그 이야기를 해서 나를 매우 난처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런것을 보면 애빌린도 에드워드를 잃어버리고 다른 인형에 관심을 쏟지는 못했을 것이다. 얼마나 에드워드를 찾으며 울었을까? 에드워드의 여행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가운데 서럽게 울었을 애빌린의 모습이 그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